여론조사는 '오세훈 62% 맹형규 13% 홍준표 11%'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입장을 밝힌 32명 중에선 맹형규 전 의원을 지지한다는 이들이 15명(전체의 31.3%)으로 가장 많았다. 홍준표 의원과 오세훈 전 의원을 지지한다고 밝힌 위원장은 각각 4명씩(8.3%)이었다. 맹 전 의원 또는 홍 의원을 지지한다고 밝힌 사람이 8명(16.7%)이었고, 맹 전 의원 또는 오 전 의원 지지 의사를 밝힌 위원장도 한 명 있었다.

이 결과를 종합하면 '기존 후보'로 분류되는 맹 전 의원이나 홍 의원을 지지하는 이들은 28명(58.3%)으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하지만 9명은 "지지후보를 밝힐 수 없다"고 답했고, 6명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당헌.당규에 따라 당원(30%)과 대의원(20%)의 투표 결과를 경선에 50% 반영한다. 나머지 절반은 국민참여선거인단 투표(30%)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20%)로 채워진다.

하지만 앞선 다른 지역 경선에서 선거인단 투표율이 5% 남짓한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당원과 대의원의 지지가 경선 결과에 큰 역할을 했다는 얘기다. 실제로 12일 실시된 제주지사 후보 경선의 경우 투표 당일 경선에 반영된 여론조사에서 16%가량 뒤진 현명관 전 삼성물산 회장이 강상주 전 서귀포시장을 제치고 당선됐다. 14일 충남지사 경선에서도 여론조사에서 9% 정도 뒤져 있던 이완구 전 의원이 박태권 전 충남지사를 물리쳤다.

따라서 오 전 의원에게 우호적이지 않은 당원협 운영위원장의 입장은 대의원과 당원의 결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역별로 다소간 차이가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당원협 운영위원장이 대의원과 당원을 선정하는 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풍(吳風.오세훈 바람)'이 저항에 부닥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맹 전 의원을 지지한다고 밝힌 한 위원장은 "'오세훈법'(돈 안 드는 정치를 위한 정치개혁법)을 만든 데 대해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위원장이 많다"며 오 전 의원에 대한 반감을 표시했다.

하지만 일부 위원장들은 "서울시장 선거와 본선 경쟁력의 중요성을 외면할 수 없어 결국 대의원의 70~80%는 오 전 의원을 찍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 전 의원은 12~15일 중앙일보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43%로 강금실 전 장관(31%)에게 12%포인트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사람들의 지지율은 46%로 31%를 얻은 강 전 장관에 더 큰 우세를 보였다.

반면 맹 전 의원(25% 대 37%)과 홍 의원(20% 대 44%)은 강 전 장관과의 가상대결에서 모두 패했다. 세 사람끼리의 가상대결에서도 마찬가지로 오 전 의원이 선두를 지켰다. 한국 갤럽이 15~16일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오 전 의원(62.5%)이 맹 전 의원(12.5%)과 홍 의원(11.0%)을 압도적인 차이로 앞섰다. 이런 흐름이 경선에서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최상연.남궁욱 기자

◆ 어떻게 조사했나=본사 취재팀이 19, 20일 이틀간 서울 지역 48개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들을 상대로 전화 또는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에 응한 위원장은 47명이다. 최근 공천비리 의혹과 관련해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김덕룡(서초 을 위원장) 의원은 연락이 되지 않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