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북미회담 무산 예상했었나…심상치 않은 中 최근 행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은 6ㆍ12 북ㆍ미 정상회담의 결렬을 이미 예상하고 있었을까.
최근 중국의 움직임을 보면 심상치 않은 행보가 감지된다.
우선 지난 17일 무역 협상 특사로 워싱턴을 방문한 류허 중국 국무원 부총리 일행의 움직임. 류 부총리는 자타가 공인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책사다. 류 부총리의 방미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2차 방문 뒤 이뤄졌다.

(왼쪽부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왼쪽부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당시 류 부총리는 예정에 없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면담을 백악관에서 가졌다. 그런데 당시 류 부총리를 수행한 인사들은 “북한과 미국의 회담이 힘들어졌을 것”이란 반응을 일제히 보였다고 한다.
류 부총리를 비롯한 중국 대표단은 그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조바심을 감지했다. 그리곤 그 같은 내용을 곧바로 시 주석에게 보고했다고 한다.
이런 정황은 미ㆍ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측이 강공을 밀어붙이는 배경이 됐다. 북ㆍ미 회담을 통한 트럼프와 김정은의 밀착을 차단하겠다는 전략이 먹혀든 만큼 북한 카드를 지렛대로 삼을 수 있게 돼 무역협상에서 밀릴 게 없다는 판단을 한 것이다.

왕이(王毅)중국 외교부장이 미국에서 내보낸 메시지도 돌이켜보면 석연치 않았다.
왕이는 23일(현지시간)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첫 만남을 가진뒤 공동 기자회견을 했다. 여기서 왕은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북한의 합리적인 안보 우려를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북한의 입장을 대변했다.
평소 중국의 발언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지만, 하루 전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태도 돌변에 대해 ‘시진핑 배후론’을 공개적으로 제기한 것을 감안하면 왕의 북한 감싸기는 의외로 받아들여졌다.
왕은 이날 폼페이오가 강조한 완전한 비핵화(CVID)에 대해선 한마디 지지 의사도 밝히지 않은 채 “북ㆍ미 정상의 직접 대화는 한반도 핵문제 해결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조진형 기자 enis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