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추진 주체싸고 대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통일정책특위는 4일 오전 이홍구 통일원장관, 이영희 교수 등 학계대표, 8·15남북 학생회담을 추진중인 전대협 대표 등 6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회에서 남북 학생회담에 관한 공청회를 열었다.
이날 공청회에서 정부측과 학생측은 남북통일 정책추진의 주제를 놓고 극단적으로 대조되는 주장으로 맞섰다. 정부기관이 공식적으로 주최하는 공청회에 학생대표가 참석하기는 처음이다.
공청회에서 이장관은 『정부는 학생들의 남북교류와 친선도모주장은 수용하고 국민과 학생들의 의견을 들어 적극 추진해나갈 것이지만 ▲군사대치상태 해소 ▲올림픽참가 ▲이산가족문제 등의 의제를 중심으로 한 학생회담은 허용할 수 없다』고 밝히고 『학생들은 국민이 뽑은 정부와 국회, 즉 국민의 의사를 뛰어넘어 스스로의 입장만을 강조하는 비민족적 교조성을 버려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에대해 회담추진측인 정명수군(연세대 총학생회장)은 『12·16부정선거를 통해서도 36%의 지지밖에 받지 못하고 5공화국 연장선상에 있는 현정권은 통일실현 의지가 의심스런데다 두개의 한국정책을 펴고 있는 미국의 강한 입김아래 있으므로 대북 교섭창구를 독점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전대협은 국토종단순례행진과 8·15남북학생회담을 주저함없이 추진, 반드시 성사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영희 교수(한양대)는 『통일문제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파보도로 학생 및 젊은세대의 반발을 부채질해왔다』고 지적하고 『대학생들의 성급한 행동에도 문제는 많지만 정부와 학생들의 대립관계 해소를 위해 먼저 태도를 바꿔야할 것은 정부』라고 주장했다.
정용석 교수(단국대)는 『북측은 정부가 반대하는 학생회담을 지지하고 나섬으로써 국론을 분열시켜 한국사회를 혼란에 빠뜨리고 회담을 주한미군과 핵무기철수의 선전장으로 이용하려는 의도』라고 지적하고 『8·15학생회담은 서울올림픽이후로 연기되어야하며 정부와 국회는 학생회담을 적극 주선해야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