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올해 대졸자 “서울시에 청년국” 마트사장 “영세업 대변”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583호 11면

6·13 선거 D-30 풀뿌리 후보들

지방선거로 뽑히는 ‘일꾼’들은 나의 일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다. 자동차·담배 등에 부과되는 세금의 절반 이상을 주무른다. 교육을 포함, 민생의 상당 부분을 결정하는 것도 이들이다. 지방선거가 국회의원을 뽑는 총선보다 중요하다고 얘기되는 이유다. 바로 광역단체장(17명)·기초단체장(226명)·광역의원(824명)·기초의원(2927명), 그리고 교육감(17명)과 교육의원(5명) 등 4016명이다. 6·13 지방선거 한 달을 앞두고 우리의 가장 가까이에서 일상을, 또 삶의 현장을 바꾸겠다고 나선 이들을 만났다.

교육의 질 높여보려 12년 교사직 그만둬

김선규(39·전직 교사·서울시의원 바른미래당 후보)

김선규

김선규

나는 석 달 전 서울 강남의 공립 중학교 사회교사를 그만뒀다. 임용고사를 거친 12년째 교사였다. 안정적이란 교사직보다 더 중요한 게 있다고 여겨서다.

고민이 시작된 건 2016년 12월이다. 그동안 보수든 진보든 잘잘못이 있더라도 둘 다 우리 사회를 이끌어가는 큰 축이라고 가르쳐왔다. 그런데 어느 순간 보수는 중학생 아이들에게조차 조롱의 대상이 됐다. 한 사람의 국민으로서 자괴감이 들었다. 고민 끝에 지난해 말 바른미래당 청년정치학교를 찾았고 나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 통렬히 자기반성을 하는 보수 정치인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꺼지지 않는 불씨를, 교사로 일했던 강남에서 피워보려고 한다. 출마지엔 대한민국 사교육 1번지 대치동이 포함돼 있다. 현직 교사 출신이란 경력을 살려 그간 봐온 교육 현장의 불합리를 없애는데 힘쓸 것이다. 자유학기제 확대 시행 과정에서 정작 학부모가 배제되는 현실을 참여형으로 개선하겠다. 단위 학교들이 반드시 필요로 하는 예산을 파악해 시의회 차원에서 논의하고 교육청에 우선 배정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교육의 질도 개선할 것이다. 학교에서 가르쳤던 진정성 있는 정치, 그중에서도 보수 가치를 민생 현장에서 실천해보겠다.

현실성 없는 조례 고쳐 주민 피해 줄일 것

김소정(40·변호사·부산 사하구의원 자유한국당 후보)

김소정

김소정

2013년 8월부터 입법보조·인턴으로 국정감사를 치르고 국회 예결위를 경험했다. 당시 국가 차원에서 구조적으로 불합리한 부분을 시정하는 일, 즉 정치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막연히 했었다. 국회의원들이 틈만 날 때마다 지역구에 가서 주민과 소통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고 의원들 중 상대적으로 지방에서부터 행정 경험을 쌓고 체계적으로 올라온 분들이 일을 잘한다는 느낌도 받았다. 그래서 정치를 하게 된다면 구의원부터 시작해서 단계별로 배워가는 게 제대로 된 길이라고 느꼈다.

이번에 고민 끝에 나오게 됐다. 애초 생각대로 구의원에 도전하기로 했다. 그동안 주민과 관청 사이 마찰이 있는 곳들을 찾곤 했는데, 시위가 생길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더라. 조례·훈령 등 규정이 미비하거나 현실과 맞지 않는 게 다수 존재해서다. 빗물이 줄줄새는 지붕을 고쳐야 하는데 현행 법규때문에 지붕을 뜯어고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초등학교 주변에서의 공사로 인한 먼지 발생으로 학생들이 피해보는데,이격(離隔)거리라든가, 가림막 설치 등 추가 규율이 없는 듯했다.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거나 거주하는 분들도 많았다. 변호사 출신 구의원으로 관련 규정들을 재정비하는 역할을 하고 싶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대기업 임원 경험 살려 산·학 연계 정책 추진

황신(55·전 SK해운 전무·서울 중구의원 무소속 후보)

황신

황신

지난해 말 SK해운 전무로 은퇴한 뒤 그동안 기업에서 쌓았던 경험을 활용해 사회봉사의 길을 찾다가 이번에 구의원 선거에 도전하게 됐다. 이곳에서 태어나 초·중·고교도 다녔고 직장까지 이곳(중구 회현동)에 있었던 토박이다. 서울에서 가장 낙후된 우리 지역을 발전시키는 일을 조금이라도 할 수 있다면 큰 보람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지난 연말에 대학(서울대 외교학과) 동창 모임 송년회에 나갔는데 구의원 출마 결심을 친구들에게 밝히기가 좀 어색하더라. 어렵게 얘기를 꺼냈더니 친구들이 잘했다고 하면서 자기들도 현직 경험을 살려 은퇴하면 뭘 할까 고민 중인데 좋은 아이디어라고 응원해줬다. 나 같은 은퇴자들의 정치 도전이 앞으로 많아질 것 같다.

정당 정치를 부인해서 무소속으로 나온 건 아니다. 특정 정당 후보로 출마하면 아무래도 소속 정당의 논리를 따를 수밖에 없다. 하지만 구의원은 진보니, 보수니 하는 정치 논리에 따르기보다는 주민들의 심부름꾼이어야 하기 때문에 무소속 출마가 바르다고 생각했다. 정치를 잘 모르지만, 구의원까지 국회의원들의 자기 사람 심기가 이뤄지고 있는 게 우리 현실 아닌가. 당선되면 국회의원이나 구청장의 손발이 되기보다는 주민들의 손발이 되고 싶다. 그게 지방분권시대에 더 맞는 것 아닌가. 선거운동도 두 딸과 어머니 등 가족과 이 지역에 사는 동창들의 도움을 받아서 할 계획이다. 법정 선거비용이 4000만원인데 다 안 쓰고 뚜벅뚜벅 지역 돌면서 내 생각을 주민들께 알릴 생각이다.

기업 임원을 하면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예전에 구의원들이 안 했던 일을 솜씨 있게 해보고 싶다. 최대 현안인 지역 개발 일은 물론 지역 학교와 기업을 연결해 다양한 직업체험을 해보는 일도 해보고 싶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청년특별위원회 시의회에 만들 것

이동현(27·시민운동가·서울 시의원 더불어민주당 후보)

이동현

이동현

정치하겠다고 결심한 건 고교 때다. 한부모가정 출신이란 이유로 학생회장 출마 자격조차 없다는 걸 알고 나서였다. 그때 느낀 박탈감. 나는 차별 없는 세상을 꿈꾸기 시작했다. 대신 노무현 정부 시절 대통령 직속 기구로 만들어진 청소년특별회의에 들어갔다. 대학 재학 중이던 2013년 성동구청 청소년운영위원으로 활동하며 ‘양심의 공’ 아이디어를 냈다. 공원에서 아이들 누구나 갖고 놀 수 있도록 공을 비치해 놓는 것이었다. 실제 구현도 됐다. 지난해엔 대학생 신분으로 서울 시민참여예산 심의위원으로 일했다. 세금을 제대로 쓰려면 시민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한다는 걸 깨달았다.

올 초 대학을 졸업하곤 지방선거에 뛰어들기로 결심했다. 10년간 꿈을 키워 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만나는 청년마다 일자리 구하기가 어렵다고 하소연한다. 열심히 대학 공부를 하고 토익 성적을 받아도 취업이 어렵다는 것이다. 정부에서, 서울시에서 지원한다는데 도움이 된다고 느끼는 청년은 별로 없었다. 당선되면 20대 시의원으로서 청년과 정책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겠다. 현재 청년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논의 기구 자체가 없다. 일부 구에 청년위원회가 있지만 형식적이다. 서울시에 청년국을, 시의회엔 청년특별위부터 만들겠다.

소상공인 피해 없도록 상담센터 설립 앞장

박종관(47·자영업·안양시의원 정의당 후보)

박종관

박종관

올해 최저임금이 인상됐다. 찬성한다. 다 같이 잘살아야 한다. 그런데 여기서도 소외당하는 계층이 있다는 게 문제다.

나는 중규모 마트를 운영하는 자영업자다. 나는 한 명인 직원의 최저임금을 올려주고 정부 지원금을 보전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정부가 최저시급을 보전해주는 건 4대 보험에 가입돼 있는 사람에 한정된다. 한 음식점 업주가 해준 얘기론 식당에서 아주머니를 고용할 때 4대 보험 없이 고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정부 보전을 받지 못한다. 인상분을 고스란히 부담할 여력이 없으면 직원을 줄이기도 한다. 어려운 사람들이 되려 직장을 잃고 있다.

지방선거에 출마한 건 정치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는 시기에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이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생각해서다. 소상공인들은 기업과 거래를 하다 일방적으로 피해를 보는 경우가 허다하다. 나 역시 모 기업과 거래를 하다 일방적으로 해지를 당한 적이 있다. 약자에 대한 횡포가 방치돼선 안 된다. 당선된다면 개인 사업자들이 피해를 봤을 때 법률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소상공인 상담센터 설립을 추진할 것이다. 지역에서는 특히 이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전무하다. 노인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겠다. 일자리는 최고의 복지다.

차세현·박성훈 기자 cha.sehy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