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특위」첫날 여야의원 발언 요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25일오후 국회에서 열린 「5·18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 특위」의 첫 전체회의는 운영일정등 협의에 앞서 민정당측으로부터 평민당수석부총재인 문동환위원장의 공정성 및 객관적입장의 요구와 광주사태당시 현지관련자인 평민당의 정웅·정상용의원에 대한 「위원자격」문제를 놓고 이의가 제기돼 초반부터 여야간 설전을 벌였다.
▲이민섭 의원(민정) = 특위가 막 가동하고 있는 시점에 공정하고 객관적인 진상조사를 가로막고 있는 장애요인이 있다면 우선 그것들을 제거하고 조사활동에 임하는 것이 특위활동의 성공적 결실을 보장한다고 하겠다.
진상조사의 공정한 재판장 역할을 해야할 위원장이 첫인사에서 「광주사태는 군화에 짓밟힌 사태」라고 미리 성격규정을 한 것이라든가, 가해자·피해자로 미리 단정하는 것은 앞으로의 특위활동과 관련해 심각한 우려를 금할수 없다.
위원장이 또 신문인터뷰에서 광주사태에 대해 「의거」니「학살」이니 하는 단정적 표현을 사용한 것도 유감이다.
더구나 위원장이 『정부가 나름대로 그때 행위를 정당화 시키는 시나리오를 만들어 놓았을지도 모른다』고 터무니없는 가상적 발언까지 했는데 어떤 근거에서란 말인가.
위원장은 특위의 진상규명활동을 저해하는 어떠한 선입관이나 편견을 일체 용납하지 않겠다는 운영방침을 분명히 해달라.
특위의 객관적이고 공정한 활동을 위해 광주사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정웅·정상용 두 의원의 특위참여를 재고해달라.
▲문 위원장 = 위원장으로서 공정하고 불편부당하게 조사활동에 임할 것을 다시한번 약속한다. 그러나 조사활동이 백지에서 출발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대통령도 광주에서의 민주화 운동에 군대가 과잉진압을 해 불행한 일이 일어났다고 시인했다.
그같은 시인에서부터 조사가 비롯됐다고 이해해야 되지 않는가.
신문인터뷰는 특위위원장보다 평민당의원 입장에서 얘기했던 것이며 위원장으로서는 공정한 입장을 지키겠다.
▲김인곤의원(공화) = 특위가 말장난의 장소가 돼선 안된다. 5·18은 8년전에 일어났던 사건인 만큼 누구보다 당시 현장에 참가했고, 당했고, 보았던 사람을 찾아 진실을 찾자는 것이다.
당시 당한 사람이 허위증언을 한다면 모를까 소속위원중 『누구는 나가라』는 식은 지극히 부당하다.
▲최봉구 의원(평민) = 위원장의 공정한 입장요구엔 찬성하나 당시 현장에 있었던 의원의 배제는 전적으로 반대한다.
▲이병학 의원(민정) = 사정을 잘아는 사람이므로 특위위원으로 좋다는 말에는 승복할 수없다. 조사는 백지상태에서 출발해야 하는데 직접 체험자가 백지상태일순 없다.
▲이해찬 의원(평민) = 두의원의 특위참여는 사실규명뿐 아니라 광주의 본질문제 해소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한다.
두 의원은 한의 치유를 받아야 할 광주시민들로부터 대표로 선임된 의원들이다. 문제제기를 하려면 1차회의에서부터 했어야 했다.
▲정동성 의원(민정) = 촉구라고 했으므로 재론하지 않겠다. 그러나 위원장은 어느 특정 정당의 대표보다는 국회특위위원장 입장을 견지해야 한다.
▲정웅 의원(평민) = 특위를 정치적 문제와 관련시켜 논하지 않았으면 한다.
본인은 광주시민들로부터 진상규명을 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등원한 사람이다. 그런점에서 여러 의원과는 조금의 차이가 있다.
▲정상용 의원(평민) = 특위에 들어오면서 감정의 덩어리를 던지고 들어왔다.
민정당의 우려는 이해하나 본의원의 양식과 광주시민의 위대한 양식을 의심치 말아주었으면 고맙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