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네이버 첫 화면은 검색창으로 … 한번 밀면 지금과 똑같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9일 뉴스 및 댓글 개선안 발표 중 카메라 플래시 세례를 받자 눈을 가리고 있다. 한 대표는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를 제외하고 아웃링크 방식을 적극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뉴스1]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9일 뉴스 및 댓글 개선안 발표 중 카메라 플래시 세례를 받자 눈을 가리고 있다. 한 대표는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를 제외하고 아웃링크 방식을 적극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뉴스1]

네이버가 “모바일 앱의 첫 화면에서 올 3분기까지 뉴스를 제외하겠다”고 9일 밝혔다. 또 트위터·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아이디로 네이버에 로그인하는 소셜로그인을 없애고, ‘인링크(네이버 안에서 기사를 읽는 방식)’ 기사에 붙는 댓글을 어떻게 보여줄지에 대한 결정도 언론사에 맡긴다고 발표했다. 네이버에 뉴스유통 권력이 지나치게 집중돼 있다는 비판이 쏟아지자 내놓은 대책이다.

인공지능 기반 뉴스 추천은 계속 #뉴스장사 핵심 ‘인링크’ 포기 안해 #“서비스 위치·배열만 바꾼 것” 지적

하지만 국회에서 법제화 추진 중인 ‘아웃링크(클릭시 기사를 생산한 언론사 홈페이지로 이동)’ 방식의 서비스에 대해 네이버는 “원칙적으로 추진하되 아웃링크 전환 여부는 각 언론사 선택에 맡기겠다”고 밝혔다. 네이버 페이지 안에서 기사를 읽는 ‘인링크’ 방식을 유지하겠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네이버가 첫화면 뉴스를 없애는 대신 더 정교하게 뉴스 유통 권력을 다듬었다”고 비판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9일 오전 서울 역삼동 네이버 파트너스퀘어에서 이같은 ‘네이버 뉴스 및 댓글 개선 대책’을 발표했다. 한 대표는 “네이버 편집자가 더 이상 기사를 배열하지 않겠다”며 “네이버는 공간과 기술만 지원하는 역할로 물러나겠다"고 말했다. 우선 네이버는 모바일 첫 화면에서 검색창 바로 밑에 주요 뉴스 7건을 보여주는 현재 서비스를 올 3분기 이내에 없앤다. 뉴스 바로 밑 실시간급상승검색어 창도 선택한 사용자에게만 노출한다. 한 대표는 “모바일 첫 화면은 검색 중심으로 재편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대신 네이버는 네이버 모바일 앱 첫화면을 옆으로 밀면 나오는 두번째 화면(일명 ‘이탭’)에 언론사별로 뉴스를 노출하는 ‘뉴스판(가칭)’을 만든다. 현재 네이버 앱 첫 화면에 있는 언론사별 ‘채널 뉴스’가 위치만 옮기는 셈이다. 네이버의 인공지능이 사용자 취향에 맞게 뉴스를 추천하는 ‘뉴스피드판’도 운영한다. 한 대표는 “구글도 하고 있는 인공지능 뉴스 추천은 네이버의 경쟁력 차원에서 계속 해야 한다”며 “(뉴스피드판은) 어떤 방식의 AI 배열이 가장 바람직한 지 계속 연구하고 알고리즘도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개편 방침이 네이버의 뉴스유통 플랫폼 시장 지배력을 약화시킬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네이버가 뉴스판·뉴스피드판에서 인링크로 기사를 유통하고, 광고를 매개로 언론사 간 트래픽 경쟁을 유도할 경우 뉴스 유통사업자로서 네이버의 영향력은 더 커진다.

네이버의 뉴스·댓글 대책과 전문가·학계의 비판

네이버의 뉴스·댓글 대책과 전문가·학계의 비판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오늘 대책이 네이버의 지나치게 큰 여론 영향력을 낮춰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지 의심스럽다”며 “뉴스판이나 뉴스피드판으로 사람들은 계속 ‘인링크 네이버뉴스’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웅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도 “사용자의 네이버뉴스 소비가 얼마나 바뀔지는 개편후 한동안 지켜봐야겠지만 네이버 트래픽은 별로 줄지 않고 뉴스 트래픽만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AI 추천 뉴스인 뉴스피드판도 네이버의 상업적 목적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더 많은 클릭, 더 오랜 체류시간이 네이버의 광고 수익을 올려주기 때문이다. 자기 입맛에 맞는 뉴스만 쫓게 되는 확증편향(필터버블)도 심해질 수 있다.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은 “비슷한 특징을 가진 사람들에게 비슷한 뉴스만 보여주다보면 민주주의에 필요한 다양한 의제를 확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네이버 알고리즘의 권력은 더 세질 수 있다. 지금도 페이스북이 알고리즘을 개편할 때마다 전세계 언론사들의 트래픽이 오르락 내리락하며 언론사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댓글 관련 대책들도 ‘제2의 드루킹’을 막을 수 있을 지 미지수다. 네이버는 ▶소셜 로그인을 통한 댓글 작성 제한 ▶댓글 운영 정책을 언론사에 위임 ▶동일한 전화번호로 가입한 복수 계정에 대한 댓글 제한 ▶매크로를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체계 강화 등을 대책으로 발표했다.

특히 한성숙 대표는 “각 언론사가 ▶정치·사회 섹션의 기사 댓글 허용 여부 ▶댓글 정렬 방식(순공감순·최신순·공감비율순) 등을 결정하도록 네이버가 지원하겠다”고 했다. 네이버가 “기사 유입에서 비롯되는 광고료를 언론사에 지급하겠다”고 하면서 인링크 뉴스 댓글에 대한 책임을 언론사에 떠넘긴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손영준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공적인 논의를 통해 모아진 의견을 수용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유리하게 개선안을 내놓은 형식이나 내용 모두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박수련·하선영 기자 park.sury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