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북미정상회담 발표, 하루 이틀 늦는다고 문제될 것 없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강경화 외교부 장관. [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 [연합뉴스]

북미정상회담 일정·장소 등의 발표가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더 넓은 시야로 봤을 때 하루 이틀 발표가 늦어졌다 해서 크게 문제 되는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8일 강 장관은 이날 오후 KBS ‘뉴스집중’에 출연해 ‘정상회담 일정이 나오지 않으면서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어 강 장관은 “이번 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의지가 실린 그런 만남”이라며 “의지가 굉장히 강력하게 발표가 되고 공개된 상황에서 이것을 뒤로 물린다는 것은 외교적으로 생각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북한에서 미국을 향해 비판적 메시지가 나오는 것에 대해서는 “역사적 첫 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여러 레벨에서 메시지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제일 중요한 것은 김 위원장이 판문점 선언을 통해 직접 발표한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해나가겠다는 정상 차원의 의지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북미정상회담 개최 장소와 관련해서는 “우리로서 판문점이 된다면 이미 다 준비된 장소이고 판문점이 가진 상징성, 역사성에 비춰 매우 의미 있는 회담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도 “(장소 결정은) 우리의 선택이 아니라 북한과 미국의 선택”이라고 밝혔다.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등이 ‘PVID’(영구적이며 검증 가능한 불가역적 비핵화)를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분명히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와 다른 단어”라며 “폼페이오 장관 입장에서는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complete’(완전한)와 ‘irreversible’(불가역적인)을 묶으면 ‘permanent’(영구적인)가 된다며 “CVID는 폼페이오 장관이 쓰고 안 쓰고를 떠나 유엔 안보리 결의에 명시된 단어”라고 설명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