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관객 웃고 울게 만든 재일동포의 고단한 삶, 영화로도 만들었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효고 히메지의 가난한 재일동포 가정에서 자랐다는 연출가 정의신씨.

효고 히메지의 가난한 재일동포 가정에서 자랐다는 연출가 정의신씨.

“딱 10년 전 연극으로 선보였을 땐 이렇게까지 사랑받을 줄 몰랐습니다. 더 많은 분에게 보여드리고 싶던 차에 영화화를 의뢰받아 제작하게 됐습니다.”

전주영화제 개막작 연출한 정의신 #동명 연극이 원작 … 한일 배우 출연

3일 제19회 전주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야키니쿠 드래곤’을 선보인 재일동포 정의신(61) 감독의 말이다. 한일 양국 연극계에 연출가·작가로 이름난 그가 영화를 연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배경은 일본이 고도성장에 돌입한 1970년 전후. 오사카의 가난한 자이니치 마을에서 재혼한 아내 영순(이정은 분)과 한국식 불고기(야키니쿠)집을 하는 용길(김상호 분)의 고락을 그렸다. 정 감독이 직접 희곡을 쓰고 연출한 같은 제목의 한일 합작 연극이 바탕이다. 연극은 2008년 초연 당시 한일 양국에서 폭발적 호평을 받아 한국에선 두 차례, 일본에선 세 차례나 거듭 무대에 올랐다.

개막에 앞서 기자회견에서 정 감독은 “지금 기억해두지 않으면 잊힐 이야기여서 영화로 찍어둬야겠다고 생각했다”며 “처음 연극을 들고 왔을 때도 한국에는 재일동포 스토리가 잘 알려지지 않아 공감받기 힘들 거라 우려했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작품 속 가족과 사랑 이야기에 많이 호응해주셨다. 영화도 잘 공감해주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영화 ‘야키니쿠 ...’의 한 장면.

영화 ‘야키니쿠 ...’의 한 장면.

영화에는 재일한국인이 겪은 애환이 고스란히 담겼다. 주인공 용길은 태평양전쟁에 강제 징용돼 한쪽 팔을, 제주 4·3 사건으로 돌아갈 고향까지 잃었다. 재혼해 낳은 막내아들은 학교에서 왕따를 당해 피투성이가 되기 일쑤다. 정 감독은 이런 비극 속에 크고 작은 웃음을 심어놨다. ‘처절한 현실을 가장 유머러스하게 풀어낸다’는 연극계의 평가대로다. 영화의 대사는 90%가 일본어인데, 한국어와 일본어를 오가며 빚어내는 유머의 타이밍이 특히 절묘하다. 김상호·이정은이 부부 역할을, 마키 요코·이노우에 마오·사쿠라바 나나미가 세 딸을, 오이즈미 요가 사위를 연기하는 등 양국 배우가 한국어와 능청스런 오사카 사투리를 섞어 호흡을 맞췄다. 오사카 억양 전문 강사가 내내 촬영 현장을 지켰다고 한다.

주연 배우 김상호는 기자회견에서 “일본어를 잘 못 해 극 중 대사를 달달 외며 순발력을 발휘했다”며 “용길의 대사가 길어 마음을 졸이고 졸였던 롱테이크 신은 오전 9시에 촬영을 시작해 오후 4시에야 끝났다. OK를 받았을 땐 너무 기뻐서 소리를 질렀다”고 했다. 핏줄이 다른 4남매의 어머니를 연기한 이정은은 “‘직계가족’의 개념이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이 많을 때 이 영화를 만나 새로운 가족의 개념을 배우게 됐다”면서 “한 달 전 일본에서 영화 시사회가 열렸을 때 일본 배우들이 ‘어머니 보고 싶습니다’라며 연락을 해왔다. 따뜻하고 즐겁게 작업했다”고 말했다. 정 감독은 첫 영화 연출에 대해 “촬영 기간이 1개월이었다. 짧은 시간 동안 집중하는 게 힘들었지만 꿈같은 행복한 시간이었다”고 했다.

93년 일본 연극계에서도 가장 권위있는 기시다 희곡상을 수상한 그는 최양일 감독의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1993)를 시작으로 영화 각본가로도 주목받았다. ‘피와 뼈’(2005, 최양일 감독)로는 일본 아카데미 각본상을 수상했다. 자이니치뿐 아니라 하층민, 동성애자 등 경계의 삶을 주로 그려왔다.

올해 전주국제영화제에는 개막작을 시작으로 역대 최다인 46개국 246편의 영화를 12일까지 선보인다. 황금연휴 가족관객을 겨냥해 디즈니 특별전도 열린다.

전주=나원정 기자 na.won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