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문 대통령, 시진핑과만 통화 불발 … 전문가 “중국, 패싱 우려에 몽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4·27 남북 정상회담 이후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일본·러시아 정상과 통화했지만 유독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는 닷새째 접촉을 하지 못하고 있다.

청와대 “시진핑, 지방 머물러서 … ”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일 기자들과 만나 “시 주석이 아직 지방에 머물고 있다. 베이징에 돌아온 뒤 통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정확한 시점은 말하지 않았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지난달 30일 “NSC(국가안보보장회의)에서 중국 외교 라인을 29일 만나 회담 결과를 설명했고 중국이 사의를 표명했다”고 말했다. 그는 “통화 지연은 거꾸로 생각하면 시 주석이 충분히 얘기를 들어 급할 게 없다는 뜻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지난 3월 12일 시 주석은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兩會·정치협상회의와 전국인민대표회의) 중에도 방중한 정의용 실장을 만났다. 따라서 이번 통화 지연에 대해 일각에선 공동선언문 중 정전협정과 평화체제 구축과 관련,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 개최를 추진한다”는 내용에 대해 중국이 불편해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수근 중국 둥화(東華)대 교수는 “참전국이자 정전협정 당사국인 중국이 한반도 문제에서 소외된다는 우려에서 나온 몽니”라며 “중국은 한반도에서 미국의 영향력 증대를 경제·안보 위협으로 느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중국에 ‘국제정세상 미국의 입장에 설 수밖에 없지만 향후 역할을 보장한다’는 시그널을 지속해서 보내야 한다”며 “중국의 비협조는 평화 정착에 중대한 난제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의 입장에선 남북 정상회담에서 나온 판문점 선언이 중국의 역할을 축소시킨다고 볼 수 있다. 정상 통화를 미룬 채 먼저 왕이(王毅) 외교부장을 2일 북한에 보내는 것도 시 주석이 문 대통령과의 대화하기에 앞서 북한의 진의를 먼저 파악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청와대도 중국의 입장을 감안한 신중한 접근을 고민하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정전협정은 대치 중인 남·북·미 3자의 문제지만 평화협정에는 당연히 중국이 참여해야 한다는 쪽”이라며 “다만 두 협정 사이에 일정 기간 시차가 생길 수는 있다”고 말했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