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거주' 부담…일반 아파트도 거래 마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서울 강남권 아파트시장이 급속 냉각되고 있다. 9.5 재건축 안정대책으로 가장 타격을 받은 저층.저밀도지구 재건축단지는 물론 일반 아파트까지 매수세가 종적을 감춰 거래가 마비됐다.

전문가들은 그동안 아파트 값 상승을 주도해온 재건축 아파트 값이 급락함에 따라 전체 아파트 값이 약보합세로 접어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내다본다.

더욱이 1가구 1주택자가 양도세를 면제받기 위해선 다음달부터 3년 보유에 1년 거주, 내년 1월부터는 3년 보유에 2년 거주 요건을 채워야 해 양도세 부담을 피하려는 매물이 추석 이후 봇물을 이룰 전망이다.

그러나 이런 양도세 절세 매물이 소화된다 하더라도 투자 심리가 회복되기 어려워 연말까지 약보합세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또 서울시가 일반 주거지역 종(種) 세분화를 통해 강남 재건축 추진 주요 아파트에 대해 용적률을 2백% 이하(일반 주거지역 2종), 층고 12층 이하로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재건축시장은 더욱 위축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최근 강남권 아파트를 매입한 투자자는 좌불안석이다. 지난 주말 이후 호가가 최고 1억원 이상 급락했는 데도 매수세가 없자 값이 더 빠지지 않을까 불안해하는 것.

서초구 반포동 반포 저밀도지구 인근 N부동산 李모 사장은 "최근 집을 산 사람들이 하루에도 3~4차례 시세를 물어올 정도로 이번 대책에 충격을 받고 있다"며 "특히 은행에서 돈을 많이 빌려 아파트를 산 사람이 더욱 곤혹스러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추석 이후엔 값이 더 떨어질 것을 우려해 "일단 팔아만 달라"는 투매성 매물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 매수 대기자들이 사기를 꺼려 호가는 계속 떨어지고 있다고 중개업자들은 전한다.

또 최근 급등에 불안을 느끼고 뒤늦게 매수한 사람들 가운데 계약금을 손해보고 해약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서초동 C공인 安모 사장은 "서초동 S아파트 34평형을 계약금 7천만원에 최근 매입 계약한 사람이 3천만~4천만원을 손해볼 테니 미등기 전매라도 해달라고 요구해 난감하다"고 전했다.

서미숙 기자

<사진설명전문>
9.5 재건축 안정 대책 이후 서울 강남권 재건축시장이 숨 죽이고 있는 가운데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주변 부동산중개업소에는 일주일새 8천만~1억원 정도 떨어진 급매물이 나와 있다.[최승식 기자<choissi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