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어있는 신보 사옥 청년창업 '허브'로

중앙일보

입력

대부분 빈 공간인 신용보증기금 마포 사옥에 청년 창업 기업의 중심지 역할을 할 청년 혁신타운이 설립된다. 신보가 대구로 본사로 이전한 후 수차례 매각을 시도했으나 유찰됐던 곳이다. 정부는 이곳에 입주한 청년 창업 기업에 대해 기업당 1억원의 자금을 지원한다.

정부, 마포 청년혁신타운 조성방안 발표 #청년 창업 기업 300개 입주 #금융 인센티브 등 지원

정부는 6일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장관회의를 열고 ‘마포 청년혁신타운 조성 방안’을 확정ㆍ발표했다. 마포 청년혁신타운 조성은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청년 일자리 대책에 담겼던 내용이다.

자료 기획재정부

자료 기획재정부

현재 신보 마포 사옥은 신보 영업점 외의 대다수 지역이 공실로 돼 있다. 정부는 이 공간을 리모델링해 청년 창업 기업을 입주시킨다는 계획이다. 리모델링 후 내년부터 3년간 단계적으로 청년창업기업이 300여 개 입주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5월까지 신보 지방이전계획을 변경한다. 상반기까지는 마포 청년혁신타운의 세부 조성계획을 수립한다. 청년 창업기업의 단계적인 입주는 내년부터 시작된다.

입주기업 대표는 원칙적으로 39세 이하 청년으로 한정해 청년창업에 특화한다.

청년혁신타운에는 창업과 금융, 교육, 네트워크를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창업 지원시설이 들어선다. 창업 아이디어를 시제품으로 개발하고, 실증체험해 볼 수 있는 메이커 스페이스와 정보통신기술(ICT) 이노베이션 스퀘어도 만들어진다.

추가경정예산 편성으로 59억원을 들여 조성하는 ICT 스퀘어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과 실증체험 장비가 구축돼 블록체인 사업모델 기획, AI창업기업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해진다. 24시간 개발공간도 마련한다.

정부는 청년혁신타운에 한국성장금융과 신보 사무소, 혁신모험펀드 운영사 등 국내외 벤처캐피털도 대거 유치할 계획이다.

입주기업에는 정책자금과 펀드를 활용해 기업당 최대 1억원의 청년창업기업 지원자금을 주고, 금리 및 보증비율ㆍ보증료 등을 지원한다.

정부는 마포 혁신타운을 인근 창업지원시설과 신촌의 대학, 여의도의 금융기관과 연계해 서북권역 대표 혁신창업 타운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이곳을 판교 테크노밸리, 강남 테헤란 밸리와 함께 글로벌 혁신창업 트라이앵글로 육성한다는 목표다.

세종=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