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급락세, 최고 5천만원 내려

중앙일보

입력

9.5 부동산안정대책 발표 이후 수익성 악화를 우려한 투자자들이 급매물을 내놓으면서 중소형 평형 의무 건축 대상 서울 강남권 재건축아파트 호가가 이틀새 최고 5천만원 빠졌다. 아파트 매수세도 순식간에 관망세로 돌아서 거래는 실종됐다.

건설업체들도 재건축 수주 전략 수정을 검토하는 등 비상이 걸렸다. 중소형 평형 비율이 늘면 일반 분양 수익금이 줄어 조합원 부담금이 증가해 재건축 추진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강남구 개포동 개포지구 주공1단지 17평형은 9.5대책 발표 하루 전인 지난 4일만해도 8억원까지 거래됐으나 지금은 5천원 빠진 7억5천만원에 매물이 나온다. 인근 개포주공 2단지 16평형도 5억8천만원선으로 주말에 3천만~4천만원 빠졌으나 거래는 안된다.

서초구 반포동 반포저밀도지구 주공 2단지 18평형도 지난 주초에 비해 3천만원 내린 6억7천만원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현지 부동산 중개업자들은 "반포.개포지구는 사업승인을 신청하지 않아 9.5 대책 영향을 많이 받게 됐다. 물건을 처분해 달라는 손님들이 늘지만 매수자들이 없어 값이 더 내릴 분위기"라고 말했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의 경우 지난 주초 34평형은 8억6천만원,31평형은 7억6천만원을 호가했으나 지금은 최고 5천만원 싼 가격에 매물이 나와 있다. 강동구 상일동 고덕주공 3단지 16평형은 4억2천만원,18평형은 4억9천만~5억원으로 이틀새 2천만원 정도 빠졌다. 대치동 S공인 관계자는"그동안 거래 없이 호가만 치솟아 값이 빠질 때도 하락 폭이 큰 것 같다"고 전했다.

부동산업계는 내달 이후 서울과 5대 신도시,과천에서 1가구 1주택자들의 양도세 비과세 요건이 대폭 강화되는 것도 호가 하락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본다. 고덕동 B공인 관계자는 "내달부터 1가구 1주택자들이 양도세를 비과세를 받으려면 3년 보유에 1년 거주, 내년 1월 이후엔 3년 보유에 2년 거주 요건을 채워야 하지만 10평형대가 많은 고덕지구에선 이를 갖추기 어려워 비과세를 받기 위해 시세보다 싸게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이미 사업승인을 받아 중소형 의무건축비율을 적용받지 않는 송파구 잠실저밀도지구 등은 강보합세다. 잠실주공 1.2단지 13평형은 지난 주 초 4억9천만에서 4억9천5백만원으로 5백만원 올랐다. 잠실동 S공인 崔모 사장은 "9.5대책의 반사이익을 기대한 집주인들이 호가를 올리고 있다"고 전했다.

대우건설 노명철 부장은 "택지부족으로 자체사업보다 재건축 수주에 의존해왔는데 사업방향 수정이 불가피할 것 같다"고 말했다. 박원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