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대통령 당적 버릴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민주당 신주류의 본격적인 신당 창당 추진과 함께 노무현(盧武鉉)대통령의 당적 이탈 가능성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 5자회동에서 盧대통령은 "신당 불간여 원칙을 지켜달라"는 한나라당 최병렬(崔秉烈)대표의 요구에 "관여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여야와 등거리 상태에서 국정 운영을 하라"며 崔대표가 당적 이탈을 요구한 데 대해선 "충고로 받아들이겠다"고 해 여운을 남겼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5일 "신당 국면이 정리되지 않아 당분간 盧대통령이 탈당할 가능성은 없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민주당의 분당이 확정될 경우 호남당의 이미지로 각인될 기존 민주당에 盧대통령이 계속 몸 담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언급했다.

그래서 참모진에선 盧대통령의 다양한 선택 시나리오에 대한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첫째 가능성은 盧대통령이 탈당한 뒤 장기적으로 당적을 보유하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행정부 수반으로서 입법부와 초당적 관계를 유지하며 국정 운영에 전념한다는 얘기다. 대통령이 당적을 갖지 않은 채 '미국식 대통령제'적 운영을 한다는 것이다. '결단'의 모양새다.

일단 탈당한 뒤 총선 전 신당에 입당하는 방안도 정무 관계자들의 검토 대상에 올라 있다. 그러나 민생 현안이 산적한 정기국회가 종료되는 올 12월 이전의 신당 입당은 아무래도 어렵다는 게 청와대 내의 분석이다.

한 관계자는 "신당의 세력 추이와 국민의 반향이 변수인 데다 '신당 불간여 파기'라는 야당의 파상 공세가 뻔해 적잖은 고민이 따르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신당에 입당은 하지 않되 총선 직전 "이 정당이 나의 파트너"라고 선언하거나 총선 후 세력 분포를 살펴 입당하는 방안도 함께 거론된다.

아직은 아이디어 차원이지만 탈당한 뒤 신주류의 신당, 구주류의 기존 민주당 모두와 초당적 우호 관계를 유지하며 '복수 여당'체제로 가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유인태(柳寅泰)정무수석은 "무엇보다 정국의 방향과 국민 요구를 지켜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