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휴무일 많아 대학원 진학” “금요일 업무 공백 개선 필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일러스트=강일구]

[일러스트=강일구]

일주일에 4일 일하고 3일 쉬는 ‘주 4일 근무제’가 경상북도 일부 공공기관에 도입된 지 6개월이 지났다. 지난해 9월 경상북도는 출연기관인 경북테크노파크를 시작으로 공공기관 주 4일제 정규직 직원들을 채용했다. 20일 현재 5개 기관에 모두 20명이 근무 중이다.

경북도 공기관 ‘주4일제’ 현장 점검 #작년 9월부터 5개 기관 20명 근무 #차별·갈등 없이 성공적 안착 평가 #“월급 20% 적어 아쉬워” 목소리도 #도, 주 4일제 가이드라인 만들기로

이들은 진짜 4일 일하고 3일을 쉴까. ‘넌 주 4일제, 난 주 5일제’ 같은 또 다른 차별이 있는 건 아닐까? 본지가 이들의 근무 상황을 들여다봤다.

6명의 주 4일 근무제 직원이 있는 경북테크노파크는 2개 부서를 아예 주 4일제 직원들로만 채웠다. 각각 주 5일제인 팀장 1명씩을 두고, 4명, 2명씩 주 4일제 직원들로만 부서를 운영 중이다. 주 5일제 직원과의 ‘차별’을 아예 차단한 셈이다.

주 4일 근무제 직원 A씨는 “금요일 쉬는 직원이 있고, 월요일 쉬는 직원이 있다. 대학원을 다닐 여유가 있을 만큼 4일제가 잘 지켜진다”며 “특히 4일제 직원들만 있어 눈치를 보는 등 근무 방식에 대한 갈등이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금요일 주 5일제 팀장만 출근하는 부서가 있는 점 등은 업무 공백이 생기는 만큼 손질이 필요하다고 경북테크노파크 측은 전했다.

7명의 주 4일제 직원이 있는 한국국학진흥원은 주 4일제, 주 5일제 직원이 함께 섞여 근무한다. 이 곳 역시 4일제 직원들은 5일제 직원들과의 차별은 없다고 입을 모았다. 대신 급여에 대한 아쉬움은 있다고 했다. 다른 직원들보다 하루를 더 쉬는 게 눈치가 보인다는 4일제 직원도 있었다.

한 4일제 직원은 설문을 통해 “5일제 직원 급여보다 20% 정도 적은 부분에 아쉬움이 있다. 급여가 적다는 것 자체가 내부 승진에 불이익을 주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있어서다”고 전했다. 또 다른 4일제 직원은 “쉬는 날인 금요일에 돌발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바로 처리가 어렵다. (내가 쉬는 날) 금요일에는 대체 근무자가 필수라는 점이 아쉽다”고 했다.

3명의 주 4일제 직원이 있는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도 4일제 직원과 5일제 직원이 섞여 근무한다. 4일제 직원들은 모두 금요일 쉰다. 연구원 한 5일제 직원은 “금요일 4일제 직원 모두가 출근하지 않지만, 5일제 직원들이 이를 불평스럽게 말하는 경우는 없다. 4일제 정규직으로 채용된 것을 다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하지만 업무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금요일 대체 근무자를 별도로 지정해야 둬야하는 점은 다소 불편하다”고 덧붙였다.

각각 2명씩 근무하는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과 경북신용보증재단도 예전에 주 6일에서 주 5일로 근무 형태가 바뀐 것처럼 주 4일제를 다른 직원들이 새 근무 방식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했다. 특히 경북신용보증재단의 경우, 오히려 부러워하는 분위기도 있다고 했다.

신용보증재단의 주 4일제 직원은 모두 내부 공모를 통해 기존 주 5일제에서 전환된 직원들이다. 그렇다보니 내부에서 4일제 선호 현상이 생기는 것 같다고 재단 관계자는 설명했다. 워라밸 분위기를 타고 돈보다 ‘시간’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나타나는 셈이다. 이에 신용보증재단은 올해 또 내부 공모를 통해 5일제에서 4일제로 전환을 원하는 직원을 더 뽑을 예정이다.

경상북도는 일단 주 4일 근무제가 성공적으로 ‘안착’했다고 판단 중이다. 이에 출연기관 소속으로 주 4일제 정규직을 올해 20명 더 채용할 방침이다. 또 공공기관 주 4일 근무제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만들어 배포할 계획이다. 주 4일제 정규직 직원을 새로 채용하는 공공기관의 참고용 자료로다.

‘워라밸’과 일자리 나눔 분위기를 타고 주 4일 근무제가 빠르게 확산 중이지만, 근무 여건 등 근무 방식을 참고할 만한 기준 자체가 국내엔 아직 없다. 가이드라인은 오는 5월 말 배포 예정이다.

이근호 경상북도 공기업 담당자는 “경북발(發) 가이드라인에는 주 4일제 직원들의 근무 방식을 기준으로, 기관·부서·업무별 특성에 따른 근무 여건 등을 상세히 담을 예정이다”며 “낯선 새 근무제에 대한 국내 첫 근무 기준 예시가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