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3년 만에 귀향한 윤이상, 더는 정치에 이용 말아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한국은 윤이상이라는 유산을 잘 활용해야 한다“고 말하는 플로리안 리임 통영국제음악재단 대표.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한국은 윤이상이라는 유산을 잘 활용해야 한다“고 말하는 플로리안 리임 통영국제음악재단 대표.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작곡가 윤이상(1917~95)의 유해가 지난달 25일 그의 고향인 경남 통영에 도착했다. 독일에서 세상을 떠나 베를린의 가토 공원묘지에 묻힌 지 23년 만이다. 유해는 베를린에서 출발해 핀란드 헬싱키, 일본 도쿄에서 비행기를 바꿔 타고 김해 공항에 왔다. 유해가 담긴 작은 단지를 가방에 넣어 비행기를 타고 하루 넘게 여행한 사람은 플로리안 리임(50) 통영국제음악재단 대표다. 리임 대표는 유해가 안장될 추모지 대신 윤이상의 부인인 이수자(91) 여사를 먼저 찾아갔다. 그는 “윤이상과 이수자 두 사람만의 시간을 주고 싶었다”며 “이 여사가 ‘마침내 돌아왔군요’라고 말하며 단지에 입을 맞췄다”고 전했다.

통영국제음악재단 리임 대표 #고인 유해 베를린서 통영으로 옮겨 #“좌도 우도 아닌 독일인이라 가능” #윤이상은 남북을 잇는 중요한 유산 #30일부터 열흘간 통영음악제 열려

리임 대표가 지난달 말 윤이상의 미망인 이수자(오른쪽)씨에게 유해가 담긴 함을 전달하고 있다.

리임 대표가 지난달 말 윤이상의 미망인 이수자(오른쪽)씨에게 유해가 담긴 함을 전달하고 있다.

리임 대표는 윤이상의 유해 반환을 성사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지난해 8월 유족들이 이장을 제안했고 리임 대표와 김동진 통영 시장이 베를린 시장과 청와대를 찾아가 설득하는 일을 맡았다. 이수자 여사는 "남편과 고향에 묻히는 것이 소원” 이라는 편지를 써서 베를린에 전했고, 지난달 초 베를린시가 이를 허가했다.

13일 만난 리임 대표는 “윤이상의 유해를 통영으로 가져오는 일은 상상도 못 했다”며 “그와 함께 긴 시간 비행을 하면서 옳은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처음 제안을 들었을 땐 찬성하지 않았다. “나는 윤이상이 통영에만 속한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베를린은 윤이상이 인생의 많은 시간을 보낸 곳이고 어려울 때 도와준 사람들이 있는 곳이며 작곡가로 성공을 거둔 도시다. 단순히 ‘고향으로 돌려보내자’고 해서 바로 그렇게 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봤다.”

리임 대표는 윤이상의 유족, 통영시청 측과 토론을 많이 했다고 했다. “가족이 원하고, 고인도 생전에 바랐던 대로 하는 것이 맞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무엇보다 정권이 바뀐 한국이 이제 그를 제대로 받아들일 준비가 됐다고 판단했다.”

윤이상 추모지와 붙어있는 통영국제음악당. [사진 통영국제음악재단]

윤이상 추모지와 붙어있는 통영국제음악당. [사진 통영국제음악재단]

통영 태생의 윤이상은 한국 사회에서 간단치 않은 의미를 가진 작곡가다. 1967년 간첩 혐의로 기소돼 사형 선고까지 받았다. 독일에 머물면서 북한을 방문하고 북한과 지속적인 교류를 했다는 이유였다. 독일 예술인들이 독일 정부를 움직이게 만들어 사면을 받은 후 유럽에서의 명성은 더 높아졌다. 유력한 연주 단체와 공연장에서 작품을 위촉받았고 동양 문화의 요소를 서양 음악과 접목한 작곡가로 이름을 알렸다. ‘예악’, 오페라 ‘심청’ 등이 대표작이다. 71년 독일로 귀화했고 95년 사망할 때까지 한 번도 한국에 오지 못했다. 반면 북한 정권은 윤이상음악연구소와 오케스트라 등을 만들며 후원했다. 윤이상의 유해 반환에 대해 보수 성향의 통영 시민들은 지금도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리임 대표는 “유해 반환은 내가 독일인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했다. 자신이 한국인이었다면 윤이상의 귀향은 어려웠을 것이란 설명이다. "한국 사람들은 윤이상 관련 일을 하는 사람을 즉각 ‘왼쪽 카테고리’에 넣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독일인인 나는 좌도 우도 아닌 그 바깥의 어디에 있는 사람으로 분류됐다.” 불출마를 선언한 김동진 통영시장은 자유한국당 소속이다. 리임 대표는 "우리는 특정 정당의 이해를 떠나 통영이라는 지역 사회와 고인의 가족에게 어떤 것이 더 좋을지를 생각했다”고 했다.

독일 뮌헨 태생의 리임 대표는 미국 인디애나와 메릴랜드 대학에서 첼로를 전공했고 일본 이시가와현의 가나자와 오케스트라 첼로 부수석으로 활동했다. 매니저로 바꿔 크레메라타 발티카 실내악단, 남서독 필하모니에서 각각 사무처장, 대표로 일했다. 2014년 통영국제음악재단의 대표로 취임했고 3년 임기 후 지난해부터 재임 중이다.

이수자(左), 윤이상(右)

이수자(左), 윤이상(右)

"한국에서 4년을 보낸 뒤 윤이상이 한국에서 왜 그렇게 논란인지 알 수 있게 됐다”고 말하는 그는 "하지만 지금 한국 사회에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이상을 둘러싼 이슈는 보통 50년쯤 된 것들이다. 나는 한국인들이 자신만의 역사 감각으로 이슈를 보았으면 한다. 윤이상 이슈를 자신의 선거 또는 세력 확장에 이용하는 정치인들의 말을 들어서는 안 된다.”

그는 "북한을 오간 행위 등이 오해를 부를 수 있었지만 내가 이해한 것은 윤이상에게는 남한과 북한이 모두 조국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라며 "분단 이전의 일본 강점기에 태어난 그에게는 당연한 일이었다”고 말했다. 오히려 한국이 윤이상이라는 유산을 제대로 인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남한과 북한 사람들이 같이 알고 있는 한국 작곡가는 윤이상이 유일할 것”이라며 "두 세계를 이어줄 수 있는 인물의 가치를 제대로 알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올해 통영국제음악제는 이달 30일부터 통영국제음악당에서 ‘귀향’이라는 주제로 열린다. 윤이상의 ‘광주여 영원히’를 연주하는 개막 공연을 포함 총 25번의 무대가 열흘간 펼쳐질 예정이다. 리임 대표는 "개막 공연 5시간 전 추모지에서는 유족과 관계자가 참석하는 조촐한 기념식도 열린다”며 "통영의 어린이 합창단이 윤이상 노래를 부른다”고 전했다. 추모 공원은 통영국제음악당에서 가깝다. 리임 대표는 "윤이상은 자신의 음악이 연주되는 곳 바로 옆에 묻히는 것”이라며 "윤이상의 유산을 비롯한 음악과 문화가 통영 사회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도록 하는 게 임기 내의 목표”라고 말했다.

김호정 기자 wisehj@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