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개원 상당히 늦어질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13대 국회의 개원이 상당히 늦어질 전망이다.
여야는 21일 오전 국회에서 4당 총무회담을 열어 그동안 각 당간에 이견을 보여온 광주사태 등 5개 특위를 개원 국회에서 구성하느냐의 문제를 놓고 절충을 벌일 예정이었으나 각당의 입장에 조금도 변함이 없어 사전절충결과 회담자체를 취소했다.
다음 총무회담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으나 22, 23일 연휴기간 막후접촉을 벌여 절충을 시도하고 24일께 다시 회동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따라 26일로 예정했던 국회개원은 연기가 불가피해졌으며 각 당 입장에 변화가 없으면 개원협상이 장기화 되어 개원시기가 5월로 넘어갈 가능성도 없지 않다.
여야 총무들은 그동안 5개 특위구성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개원국회에서는 광주사태 등 5개 특위의 구성결의안만 처리하고 ▲구성은 임시국회로 미루는 방안을 놓고 절충을 벌였으나 평민·공화당이 이에 신축성을 보인 반면 민정당측이 ▲개원국회에서는 특위구성에 관한 보고만 하고 ▲특위구성결의안은 임시국회로 미룰 것을 주장했으며 민주당측은 개원국회 특위 구성입장을 완강히 고수해 접근점을 찾지 못했다.
또 야당측이 제5공화국 비리조사특위를 주장하는데 반해 민정당측은 권력형 의혹사건 등으로 특위의 명칭을 구체화하여 조사대상을 제한할 것을 주장하고 있어 이 문제도 의견이 대립되고 있다.
평민·공화당측은 임시국회에서 5개 특위구성만 보장된다면 개원국회를 가급적 늦추지 않는 범위 안에서 타협할 것을 주장하고 있으나 민주당측은 새로운 정치의 의지를 보인다는 측면에서도 개원국회에서 광주사태·제5공화국 비리 등 특위는 반드시 구성돼야 할뿐 조사대상을 제한하려는 의도를 보이는 한 양보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형우 민주당 총무는 특위구성 문제가 절충되지 않는 한 개원협상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고 개원시기가 늦어지면 개원국회와 임시국회를 별도로 분리하지 않고 개원국회에서 원구성과 의안처리를 병행하자고 주장했다.
야당측은 청와대 4자 회담이 무산되고 최근 통일논의 등이 쟁점으로 대두하고 있는 것과 관련, 3당 공동대책을 강구키 위해 3자 회담을 다시 열어 개원문제 등에 관한 의견도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민정당측은 야권과의 당직자 회담 등 개별접촉 등을 다각적으로 벌여 새로운 타협점을 모색할 방침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