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볼튼 전 유엔 美대사 “北 핵미사일 역량 갖추기 전 폭격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존 볼튼 전 유엔주재 미국 대사. [연합뉴스]

존 볼튼 전 유엔주재 미국 대사. [연합뉴스]

대북 강경파로 꼽히는 존 볼튼 전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최근 북한이 북미 대화 의사를 밝힌 것과 관련해 “선전 전략의 연장선”이라고 주장했다. 또 그는 “북한이 미 본토 타격 역량을 갖추기 전에 (미국이) 대북 군사 행동을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6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와 인터뷰에서다.

VOA와 인터뷰 “북한의 북미 대화 제안은 선전 전략의 연장선” #‘트럼프 행정부 합류 계획’ 질문엔 즉답 피해

볼튼 전 대사는 인터뷰에서 “북한의 북미 대화 제안은 선전 전략의 연장선이다. (북한은 그동안)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동시에 (미국과) 모든 대화로부터 이득을 얻었다”며 “이번 대화 제안 역시 새로운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관련기사

최근 미국 정부의 대북 접근법과 관련해 그는 “트럼프 정부는 지난 24일 대북 제재를 단행했지만 실제로 효력을 발휘하기엔 시간이 충분치 않다”고 말했다.
당시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자금을 차단하려는 목적으로 관련 선박 28척, 기업 27곳, 개인 1명을 적시한 특별지정제재대상(SDN) 명단을 발표했다. 제재 대상이 사상 최대 규모로, 사실상 북한에 대한 ‘해상 봉쇄’ 조치라는 분석이 나왔다.

또 볼튼 전 대사는 미국의 대북 군사 작전 감행 가능성에 대해 “대북 군사 행동이 가해질 것이라면 반드시 북한이 미 본토 타격 역량을 갖춰기 전에 이뤄져야 한다”며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검토 가능한 군사 행동 방식으로는 “북한 핵·탄도미사일 시설 및 비무장지대(DMZ) 이북의 대포 타격”을 꼽았다.

볼튼 전 대사는 중국 정부의 역할론과 관련 “중국은 북한의 핵 무기 보유를 원치 않는다고 했다. 북한이 바로 지금 그것(핵 무기)을 얻으려고 하는 시점에 있는데 이 상황에서 중국이 무엇을 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끝으로 그는 “트럼프 행정부에 합류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그런 질문에는 절대 논평하지 않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조진형 기자 enis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