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태·비리 규명이 최우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야권의 3김씨는 13대 국회의 최우선적 처리과제로 5공화국 비리와 광주사태의 진상 규명을 꼽고 이를 위해 개원 국회 또는 임시국회에서 각각 진상주자 특위를 구성해 국정 조사권을 발동시킨 가운데 조사대상의 인물과 기관에 성역을 두지 않고 철저하게 진상을 규명해 법적·정치적 차원의 책임 추궁을 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대중 평민·김영삼 민주·김종필 공화당 총재는 14일 중앙일보의 서면질문에 대한 답변을 통해 이같이 주장하고『그러나 보복은 반대한다』고 밝혔다. <관계기사 3면>
3김씨는 오는 18일 열릴 3김 회담에서 국회원 구성문제, 5공화국의 유산 청산문제, 노 대통령과의 회담문제 등을 포함해 야권 3당끼리의 정국운영에 대한 협력방안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3당간 상설 협조기구 설치문제에 대해서는 서로 엇갈린 시각을 보였는데 김 대중 총재가 다소 부정적, 김영삼 총재가 유보적인 입장인데 비해 김종필 총재는 필요성을 강조했다.
3김씨는 노 대통령과의 회담방법에 대해 김영삼 김종필씨가 4자 회담을, 김대중씨가 3김 회담에서 논의하겠다고 각각 밝혀 일단 4자 회담이 될 공산이 높고 그 시기는 모두 개원전을 희망했다.
노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김대중 총재는 ▲정부·여당이 민주화를 실천하면 협력해 대화정치를 창조하겠으며▲노 대통령이 5공화국의 상속인이나 관리인이 아닌 청산인 입장에 서야하며 ▲올림픽에 북한 참여를 유도하도록 강조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삼 총재는 정국안정을 위한 민주화 조치, 특히 양대 선거에서 노 대통령과 민정당이 했던 공약 이행을 촉구하겠다고 말했고, 김종필 총재는 나라의 장래와 국정운영의 방향, 의회 활성화 방안 등을 폭넓게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김대중 총재는 노 대통령의 올림픽 후「중간 평가」와 관련,『노 대통령의 태도와 국민여론을 보고 최종태도를 결정하겠다』고 유보적 태도를 취한 후『프랑스처럼 대통령 선거에서도 2차 투표를 하는 방식으로 개헌이 필요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하고있다』고 말해 주목을 끌었다.
3김씨는 지자제 문제와 관련, 그 실시시기는 양대 선거를 치른데다 올림픽이라는 국가대사가 있으므로 올림픽 이후 실시에 모두 찬동하고 그러나 그 이전에 지자제 전면실시를 위한 지자제관 련법안이 개정돼야할 것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김영삼·김종필씨는 내년 상반기까지 실시를 제시한데 반해 김대중씨는 올림픽 이후의 금년후반 또는 내년 초까지로 주장해 약간의 차이를 드러냈으나 내년 봄 실시에 의견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3김씨는 지방자치 단체장의 직선을 포함한 전면적 실시에 견해를 같이했다.
김영삼씨는『특별·직할시장 및 도지사의 직선과 의회 구성이 우선된다면 여러 정치 상황을 고려해 일정기간의 시차를 둔 단계적 실시도 고려해볼 수 있다』고 신축적 자세를 보였으나 김대중씨는『단계적으로 실시해야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3김씨는『국정 감사권은 정기감사를 원칙으로 해야하며 그 대상은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행정기관과 정부투자기관까지 포함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3김씨는 민정당과의 연정에는 모두 반대한다고 천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