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가 요구하는 새 정치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전당대회와 당직 개편을 통해 새 체제를 갖춘 평민당과 총재로 복귀한 김대중 총재가 앞으로 어떤 자세와 노선으로 나갈 것인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른바 여소 야대의 정계판도에서 평민당과 김 총재의 역할은 과거의 단순한 제1야당의 그것과는 같을 수가 없다. 앞으로 정국이 안정과 대화로 가느냐, 불안과 대결로 가느냐의 열쇠는 여당 못지않게 평민당에도 달려있다고 봐야하기 때문이다.
김대중 총재는 평민당의 진로에 관해 과거와 같은 흑백투쟁의 시대는 지나가고 있다고 말하면서「안정 속의 개혁」과 대화 정치를 표방했다. 그리고 정부가 민주화로 나가면 협력할 것이라고 말하고 어떤 혼란과 파국도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김 총재의 이같은 진로 설정은 어느 한 폭의 주도를 허용않는 4당 체제의 경계구조로 보아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과거 여당이 과반 의석을 가졌을 때의 야당은 비판, 견제할 뿐 결과에 대한 책임감은 안 가져도 무방했지만 여소 야대의 새 정계판도에서는 결과에 대한 책임을 야권이 더 무겁게 추궁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야당 중에서도 평민당은 제1야당으로서 국회의「더 나은 결정」을 만들어내는데 더 큰 책임이 있고, 오늘의 현실정치에서 막중한 요소가 되고있는 호남문제의 수임자적 입장에 있기 때문에 단순한 의석비의 의미에 머물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평민당이 앞으로 김 총재가 밝힌 안정 속의 개혁과 대화정치를 어떻게 구체화해 나갈지 주시하지 않을 수 없다.
평민당이 책임있는 제1야당으로서, 그리고 궁극적으로 정권의 대안으로서 역할하고 발전할 수 있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개선하고 극복해야 할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중 하나는 지지기반의 지역적 편중성을 하루 빨리 탈피해야 한다는 점이다.
호남 지역당의 성격을 떠나 다른 지역 국민의 지지도 받을 수 있어야 궁극적 목표라 할 집권 역시 바라볼 수 있다. 왜 다른 지역의 외면을 불러왔는지를 이제부터라도 냉엄하게 생채하고 그 개선방안을 당의 정책과 인사에서 반영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당 운영의 개선문제다. 정당이 지도자 1인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는 형태로 운영되는 것은 지극히 전근대적이다. 당내에도 다양한 이익을 대변하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할 수 있어야 하고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쟁적 의견들이 민주적 과정으로 여과되어 당논화 할 수 있어야 그 정당의 자생력도 커질 수 있다.
또 한가지는 집권에 접근하는 정당의 능력문제다. 지금까지 우리 야당은 독자적인 능력으로 국민지지를 얻은 면보다는 권위주의적 권력에 대한 국민적 불만의 반사이익으로 지지를 규합해 온 면이 더 강하다. 이제 그런 시기도 지나가는 것 같다. 야당도 스스로의 지지를 창출해 내는 능력과 태세를 가져야 한다. 그것은 정책과 정치의 양면에서 다같이 요구되는 것이다.
정당의 궁극적 목표가 집권임은 두말 할 필요도 없다.
평민당도 집권의 목표에 접근해나가기 위해서는 앞서 말한대로 지역 당 및 사당적 성격의 탈피와 지지창출의 자생력을 가져야 한다. 덧붙여 혹 있을지도 모를 목표달성의 조급한 충동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가령 집권을 단기적 목표로 설정한다면 현 정부를 흔들고 공세를 취하는 전략, 전술로 나가야할텐데 그럴 경우 정국불안은 필지의 일이 되고 김 총재가 말하는 대화정치나 안정 속의 개혁과도 맞지 않는다.
제1야당 평민당이 오늘의 시대 상황이 요구하는 새 모습의 정치를 보여주기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