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5일까지 미뤄둔 한·미 훈련 … 그 전에 북·미 대화 시작하는 게 관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남북 정상회담을 제안하면서 ‘한반도 운전자론’을 내세운 정부의 발걸음도 빨라질 전망이다.

군 당국, 올림픽 끝나면 실시 입장 #북 “재개 땐 남북관계 휘청” 위협

그러나 정상회담으로 가는 여정은 가시밭길이라는 평가가 많다. 역대 정부들이 저마다 남북 정상회담을 추진했지만 김대중·노무현 등 딱 두 정부에서만 성사시켰다. 전두환 정부 때는 회담 추진 과정에서 부산 다대포 간첩선 침투 사건(1983년)이 발생했고, 김영삼 대통령 때는 김일성 주석이 사망(94년 7월)하면서 무산됐다. 세 번째 정상회담을 앞두고도 언제든 돌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데다 북핵 문제가 최정점에 와 있어 어느 때보다 복잡한 방정식을 풀어야 한다. 당장 패럴림픽(3월 9~18일) 이후 재개키로 한 한·미 연합훈련이 변수다.

한·미는 2월 말 시작하려던 올해 상반기 한·미 연합훈련인 키리졸브 연습과 독수리 훈련을 올림픽 이후로 잠정적으로 연기했다. 군 당국과 미국은 연기했던 훈련을 재개한다는 입장이다. 군 관계자는 “유엔에서 올림픽 기간에 휴전을 하기로 결의했고, 평창 겨울올림픽의 성공을 위해 훈련을 연기했다”며 “올림픽이 끝나면 연기했던 훈련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훈련이 재개될 경우 북한의 반발이 예상된다. 북한 노동신문이 7일 “올림픽 이후 한·미 훈련을 재개하면 북남관계가 휘청일 것”이라고 하는 등 위협은 이어지고 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지난달 26일 (사)한반도평화만들기 초청 강연에서 “3월 25일까지 한·미 연합 군사훈련이 조정된 상황”이라며 “그 상황, 시간 내에 북·미 간 대화가 시작될 수 있도록 진입할 수 있게 견인해 나가는 것이 관건”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미국 대표단과 저녁 약속이 있었다는 해명에도 불구하고 지난 9일 개막식 리셉션장에서 보여 줬던 북한을 향한 싸늘한 태도를 고려하면 정부에 주어진 시간이 촉박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