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대우, 해고 근로자 껴안고 노사상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TABLE cellpadding="0" cellspacing="0" border="0"><TR><TD colspan="2" valign=top style="line-height:20px;">GM대우 노사가 과거 정리해고됐던 직원들의 전원 복직을 계기로 노사 상생을 더욱 확고히하기로 결의했다.

GM대우 닉 라일리 사장과 이성재 노조위원장은 16일 인천 부평공장 홍보관에서 '노사상생 및 회사 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상반기중 지난 2001년 정리해고됐던 생산직 직원 1천725명의 재입사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미 1천81명은 회사 사정이 나아진 2002년 말부터 순차적으로 복직했고 나머지 인원은 부평2공장이 2교대로 전환되는 오는 6월 이전에 복직할 예정이다.

GM대우는 대우자동차 시절이던 지난 2001년 2월 대우그룹 사태의 여파로 경영여건이 나빠지면서 가동률이 떨어졌던 부평공장 생산직 근로자의 3분의 1에 달하는 1천700명을 정리해고했다.

이후 2002년 10월 GM대우가 출범하면서 닉 라일리 사장은 노조에게 회사 상황이 나아지면 해고 근로자를 전원 복직시키겠다는 약속을 했고 3년여만에 이를 이행한 것이다.

해고 근로자의 복직은 사측의 의지 못지않게 노조의 적극적인 협조가 없었으면 불가능했다.

과거 대우차 노조는 대표적 강성노조로 이름을 떨쳤지만 GM대우 출범이후에는 2004년 한 차례 부분파업한 것을 빼고는 사측과 별다른 마찰없이 회사 정상화에 힘을 보탰다.

대우차 인수당시 노사관계가 불안하다는 이유 등으로 인수하지 않았던 부평공장을 GM대우가 당초 예상보다 훨씬 빠른 작년 10월 조기 통합한 것도, 임금교섭이 순조롭게 이뤄지는 등 노사상생이 정착됐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GM대우는 노사상생을 바탕으로 2002년 41만1천573대에 불과했던 판매대수가 작년 115만7천857대로 비약적으로 늘었고 당초 예상보다 1년 빠른 작년에 첫 흑자를 달성했다.

닉 라일리 사장은 "정리해고된 직원이 전원 회사로 복귀할 수 있어 무엇보다 기쁘다"면서 "출범 3년여만에 회사가 안정적인 모습을 갖춰 옛 동료들을 다시 부르게 된 데는 상호신뢰와 존중의 노사문화가 있었기에 가능했고 앞으로도미래 지향적인 노사관계가 지속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성재 노조위원장도 "아직 연락이 안된 정리 해고자를 모두 찾아 복직 의사를 확인하고 희망자 전원이 복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TD></TR></TABLE>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