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보다 고양이… 일본 고양이 사육두수 개 앞질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일본에서 인기 있는 미뉴에트(minuet) 고양이[사진 야후 재팬]

일본에서 인기 있는 미뉴에트(minuet) 고양이[사진 야후 재팬]

일본에서 고양이 사육붐이 계속되면서 처음으로 사육 고양이 수가 개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본에선 고양이 신드롬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나타내는 ‘네코노믹스’란 단어가 생겨났다. ‘네코노믹스’는 일본어로 고양이를 뜻하는 네코(ねこ)와 경제를 뜻하는 이코노믹스(Economics)가 합쳐진 말이다.

집에서 사육하는 고양이가 늘면서 일본 주요 도시의 시가지에는 고양이와 함께 살 수 있는 아파트나 주택 등을 전문적으로 소개하는 네코부동산(猫不動産)이 등장했다. 또한 고양이와 함께 일할 수 있는 사무실과 고양이를 편안하게 해주는 고양이팩까지 등장했다.

애완동물용 사료업계 단체인 페트푸드협회는 지난해 12월 말 일본 전국의 반려견과 고양이 수 추정치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는 전국의 반려 고양이 수는 전년 대비 2.3% 증가한 953만 마리로 추정됐다. 반면 반려견 수는 전년보다 4.7% 줄어든 894만 마리로 추산됐다. 고양이 사육은 증가세가 이어졌지만 개는 감소세가 계속되면서 협회가 조사를 시작한 1994년 이래 처음으로 고양이 숫자가 개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고양이 사육이 늘고 있는 이유는 뭘까.

일본페트용품공업회 관계자는 “고양이를 기르는 게 쉽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양이는 산보를 시킬 필요가 없고 짖지도 않는다. 또 몸이 작기 때문에 (늙거나 병들어) 돌봄이 필요해질 경우 돌봐주기 쉽다”고 덧붙였다. 인구가 도시에 집중되고 저출산·고령화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고양이가 상대적으로 기르기 쉽다는 인식이 강해지며 사육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집을 비운 사이 자택을 방문해 먹이를 주거나 주인 대신 산보를 시켜주는 등의 방문서비스 사업을 하는 ‘케어 완 24’ 대표는 “고양이를 기르는 사람은 개를 기르는 사람처럼 산책 중 주인들끼리 이야기를 나누는 일이 적어 정보도 많지 않았다”며 “하지만 최근 SNS 등을 통해 교류기회가 늘어나면서 점점 고양이를 사육하는 집이 증가하가고 있다”고 요인을 밝혔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