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KTB ‘권성문 시대’ 저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권성문(左), 이병철(右)

권성문(左), 이병철(右)

‘벤처 투자의 귀재’로 불렸던 권성문 KTB투자증권 회장이 19년 동안 경영했던 회사를 떠나게 됐다. 이병철 KTB투자증권 부회장은 2일 권 회장이 보유한 이 회사 주식 중 1324만4956주가 주당 5000원에 자신에게 팔린다고 공시했다. 현재 주식 가치(2일 종가 기준 주당 3625원)와 견줘 37.9%의 웃돈이 붙은 값이다. 주식 매매 대금은 총 662억2478만원이다.

‘권 회장 1324만 주 넘기기로’ 공시 #권 회장, 1999년 기술금융 인수 #자본금 3500억원대 회사로 키워 #영입된 이병철 부회장, 경영권 도전 #최대 지분 확보하며 내분 일단락 #작년 ‘권 회장 발길질’ 추문 일기도 #권 회장 측 임원 퇴진 계약조건 이견 #양측 합의 불발 땐 다툼 재연될 수도

계약이 예정대로 이행되면 이 부회장의 지분율은 14.0%에서 32.76%로 높아지고, 권 회장의 보유 지분 비율은 24.28%에서 5.52%로 내려간다. 이 부회장이 권 회장을 제치고 이 회사 1대 주주로 올라서게 되는 상황이다. 또 계약 내용엔 권 회장과 권 회장 쪽 사외이사인 이훈규, 김용호 이사의 퇴진이 조건으로 붙어있다

권 회장으로서는 1999년 KTB의 오너이자 경영자가 된 이후 19년 만에 회사 지배권과 경영권을 내려놓게 됐다. 권 회장은 90년대에서 2000년대 초까지 벤처 투자의 귀재로 불렸다. 잡코리아와 옥션 주식 매매 차익으로 거액을 벌어들이기도 했다.

물론 그 토대가 된 건 KTB였다. 그는 1996년 봉제업체인 군자산업을 사들여 미래와사람으로 사명을 바꾼 후 공격적으로 기업 인수·합병(M&A)에 나섰다. 현 KTB투자증권의 모태는 벤처투자 전문 공공기관이었던 한국종합기술금융(KTB)이다. 권 회장은 99년 이 회사의 정부 지분을 98억원에 사들인 뒤 회사를 투자 전문 회사인 KTB네트워크로 개편했다. 2008년 금융위로부터 증권업 신규 허가를 받으면서 KTB네크워크는 KTB투자증권으로 변신했다.

권 회장이 회사를 떠나게 된 건 그가 영입했던 이 부회장과의 경영권 다툼에서 결국 패했기 때문이다. 양자 간 경영권 분쟁의 시발점은 201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권 회장은 “공동 경영에 나서겠다”며 당시 부동산 투자회사 다올인베스트먼트 사장이었던 이 부회장을 영입했다. 이 부회장은 다올신탁 사장, 하나금융지주 부동산그룹장 등의 이력을 가지고 있다. 그는 “KTB투자증권 지분 5.81%를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하면서 수면 위로 떠오른 뒤 곧이어 KTB투자증권 부회장으로 공식 취임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둘 사이 이상 기류가 감지되기 시작한 건 이 부회장이 2016년 하반기부터 공격적으로 KTB투자증권 주식을 매입하면서부터다. 그해 4월 5.81%로 출발한 이 부회장의 지분율은 주식 매입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4월 13.60%까지 높아졌다.

권 회장의 경영권은 그를 둘러싸고 각종 추문이 불거지면서 흔들리기 시작했다. 지난해 8월 권 회장이 직원을 발로 걷어차는 폐쇄회로TV(CCTV) 영상이 공개됐고, 회사 측이 폭행 사실을 무마하기 위해 직원에게 수천만 원의 합의금을 주며 외부 발설 금지 확약서를 요구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설상가상으로 검찰이 권 회장의 배임·횡령 의혹과 관련해 그의 사무실과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금융사 지배구조법상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으면 대주주 자격을 박탈당한다. 금융 당국은 대주주 자격이 없다고 결론 난 금융사 최대주주에게 주식 매각 명령도 내릴 수 있다. 배임·횡령 혐의로 권 회장이 처벌받으면 대주주 지위가 위태로워질 수 있다. 이 부회장은 이 와중에도 차근차근 지분율을 높여나갔다.

권 회장이 반격에 나선 건 지난해 12월이다. 그는 긴급 이사회를 열어 경영권에 대한 의지를 주주들에게 확인시킨 뒤 곧바로 추가 지분 매입에 착수했다. 20.22%였던 지분율을 지난해 12월 한 달 새 24.28%까지 끌어올리며 이 부회장과의 지분 격차를 벌려 나갔다. 그러다가 이날 갑자기 권 회장 지분이 이 부회장에게 넘어간다는 내용의 공시가 나왔다.

권 회장은 애초에 이 부회장이 아닌 제3자와 주식 매매 계약을 맺으려 했다. 하지만 대주주인 이 부회장에게는 우선 매수 청구권 행사 권리가 있어 권 회장이 지분을 내놓을 경우 누구보다 먼저 지분을 인수할 수 있었다. 권 회장이 지난해 12월 제3자에게 지분을 매도할 뜻을 밝히자 이 부회장은 ‘그렇다면 우선 매수 청구권을 통해 내가 사겠다’고 결정했고 이에 따라 결국 지분을 인수하게 됐다.

양자 간 주식 매매가 끝나는 시점은 ‘계약 통지서 수령일로부터 2개월이 되는 날’ 또는 ‘금융위의 대주주 변경 승인 완료 등 거래에 필요한 정부 승인이 완료되는 날’ 가운데 이른 날짜다. 늦어도 두 달 안에는 계약이 완료된다는 의미다.

하지만 양측은 지분 이전 계약 세부 내용과 관련해 이견을 보인다. 회사 내 권 회장 쪽 관계자는 “애초 제3자에게 지분을 넘기려 할 때 임직원의 신분 보장, 권 회장 잔여 지분의 동등 조건 매입 등이 조건으로 걸려 있었는데 이 부회장 측이 이를 계약 내용에 담지 않았다. 이게 보장되지 않으면 지분을 넘길 수 없다”고 반발했다. 양측 이견이 봉합되지 않는다면 경영권 분쟁이 ‘제2 라운드’로 돌입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조현숙·이현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