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1.9%...5년 만에 최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12월 물가 상승률은 연중 최저치였던 지난달보다 소폭 반등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보다 1.9% 상승했다. 2012년의 2.2% 상승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12월 물가는 1.5% 상승...연중 최저치였던 11월(1.3%) 대비 소폭 반등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경기 부진과 함께 2015년 0.7%로 사상 최저치로 하락했다가 지난해 1.0%로 소폭 반등했다. 그러다가 올 들어 경기 회복과 함께 0.9%포인트나 높아졌다.

농축수산물이 5.5% 상승했고, 국제유가의 상승과 함께 석유류가 포함된 공업 제품이 1.4% 상승했다. 서비스 물가도 개인 서비스(2.5%) 중심으로 올라 2.0% 상승했다.

밥상머리 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지수는 작년보다 2.5%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도 신선과일이 15.0% 상승하는 등 전체적으로 6.2% 상승했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뺀 농산물석유류제외지수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근원 물가인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모두 1.5% 올랐다.

연간 물가

연간 물가

통계청은 올해 1인 및 고령자 가구가 느끼는 소비자물가 동향을 처음 내놨다. 이들 가구가 많이 지출하는 소비지출액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산출했다. 올해 가구특성별 물가 등락률은 작년과 비교할 때 1인 가구는 1.7%, 고령자가구는 1.8% 상승해 전체 물가상승률보다는 낮았다.

가구특성별 물가 상승률

가구특성별 물가 상승률

12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보다 1.5%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월 2.6%로 정점을 친 뒤 9월 2.1%, 10월 1.8%, 지난달 1.3%로 계속 낮아지다가 이번에 반등했다.

그동안 폭등했던 채소류 가격이 전년 동월보다 16% 하락하는 등 안정세를 보이면서 전반적인 물가 수준을 끌어내렸다. 채소류 물가 하락 폭은 2014년 8월의 18.1% 감소 후 가장 컸다.  무(-44.1%), 당근(-40.7%), 양배추(-38.7%) 등의 품목에서 하락 폭이 컸다. 반면 고춧가루(41.4%), 오징어(37.0%) 등은 상승 폭이 컸다. 전기ㆍ수도ㆍ가스는 1.5% 하락했지만 유가 상승으로 석유류 가격은 7.5%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6% 상승했다. 신선식품지수는 3.9% 하락했는데 특히 신선채소가 16.2% 내리면서 하락을 주도했다. 농산물석유류제외지수와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모두 1.5% 올랐다.

12월 물가

12월 물가

세종= 박진석 기자 kaila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