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있는아침] ‘손 털기 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손 털기 전’ - 황동규(1938∼ )

누군가 말했다.
‘머리칼에 먹칠을 해도
사흘 후면 흰 터럭 다시 정수리를 뒤덮는 나이에
여직 책들을 들뜨게 하는가,
거북해하는 사전 들치며?
이젠 가진 걸 하나씩 놓아주고
마음 가까이 두고 산 것부터 놓아주고
저 우주 뒤편으로 갈 채비를 해야 할 땐데.’

밤중에 깨어 생각에 잠긴다.
‘얼마 전부터 나는 미래를 향해 책을 읽지 않았다.
미래는 현재보다도 더 빨리 비워지고 헐거워진다.
날리는 꽃잎들의 헐거움,
어떻게 세상을 외우고 가겠는가?
나는 익힌 것을 낯설게 하려고 책을 읽는다.
몇 번이고 되물어 관계들이 헐거워지면
손 털고 우주 뒤편으로 갈 것이다.’

우주 뒤편은
어린 날 숨곤 하던 장독대일 것이다.
노란 꽃다지 땅바닥을 기어
숨은 곳까지 따라오던 공간일 것이다.
노곤한 봄날 술래잡기하다가
따라오지 말라고 꽃다지에게 손짓하며 졸다
문득 깨어 대체 예가 어디지? 두리번거릴 때
금칠(金漆)로 빛나는 세상에 아이들이 모이는
그런 시간일 것이다.


손을 털고 일어서는 그 잠깐의 미련 없음과 청산(淸算). 이 세상 떠나는 날 우리는 가장 아름답게 손을 털고 일어서야 하리. 손 털고 가야할, 상상만으로도 무서운 우주 뒤편이 ‘어린 날 숨곤 하던 장독대’라니 얼마나 친근한가. 양지바른 곳에 핀 꽃다지에게도 쉿!하고 홀로 숨어들던 장독대. 그 곳서 졸다 깨면 그러나 또 두리번거리게 될까. 낮꿈에 또 서러울까. <문태준 시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