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총리 “발사대와 미사일간 교신 끊겨…성공 불투명”

중앙일보

입력

이낙연 국무총리는 29일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관련해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하면서 어쩌면 (우리 정부가) 필요한 만큼의 독자적 제재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 참석해 “현 단계에서 북한과의 대화를 기대할 가능성이 좁아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관훈토론회 참석 “현상황서 대화는 비현실적” #“필요한 만큼의 독자적 대북 제재 검토해야” # 김영란법 개정안, “수정안 만들어 상정 추진” # 차기대권 도전 질문엔 “생각해보지 않았다” #

이낙연 국무총리가 29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29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총리는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포기하고 나오겠다면 대화를 해야겠지만 현재 흐름상 그런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미사일 개발을 고도화 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화를 시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미사일 고도화 수준에 대해서도 평가했다.
이 총리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이 완성을 향해 질주하는 단계라고 보고 있다”며 “북한 스스로 완성됐다까지는 아니어도 유보적인 표현을 썼는데 거기서 좀 더 진척이 된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미사일 발사의 성공 여부에 대해선 “발사를 하면 발사대와 미사일 사이에 교신이 있게 돼 있는데 이번 것은 교신이 중간에 빨리 끊어진 걸로 파악된다”며 “그런 점에서 북한이 나름의 성공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점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리는 이번 북한 도발에 대응해 우리 군이 즉각 육ㆍ해ㆍ공군 합동 정밀타격 훈련을 실시한 것과 관련 “2∼3일 전부터 구체적인 도발 임박 징후에 대해 미국과 정보를 공유했다”며 “(군에) 도발이 있으면 즉각 대응하라는 백지위임이 돼 있었다”고 말했다.

 국민권익위원회 전원위원회에서 부결된 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안에 대해서는 수정안을 재상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수정안을 내서 재상정할 것으로 알고 있다”며 “권익위원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그 분들이 동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기왕에 농수축산인들이 기대하고 있기 때문에 설 명절을 넘기는 것은 의미가 반감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아직 (설 전에 통과할) 기회는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적폐청산이 정치보복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강하게 반박했다.
 이 총리는 “지금 벌어지고 있는 굵직한 수사가 두 가지인데, 국정농단 사태에서 파급된 수사가 한 줄기이고 또 하나는 댓글사건”이라며 “댓글 사건은 몇 년 전에 조사가 됐는데 조사가 충분하지 못해 기존과 다른 증언들이 나오고 있는 것”이라며 “그걸 덮으면 정부라고 할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총리를 마친 다음에 대선 도전할 생각 있느냐’는 질문에는 “총리 직무를 얼마나 잘할 것이냐만 생각하고 있다”면서 “그 다음일은 생각해보지 않았다”고 답했다.

정용환 기자 narrativ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