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왜 '폭찹힐 전투'를 예로…트럼프 연설에 숨겨진 역사 코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토요정담

우리 양국의 동맹은 전쟁의 시련 속에서 싹텄고 역사의 실험으로 강해졌다. 인천 상륙작전에서 폭찹힐 전투에 이르기까지 한·미 장병들은 함께 싸웠고, 함께 죽었고, 함께 이겼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박종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박종근 기자

지난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회 연설에서 한·미 동맹의 역사적 의미를 강조하면서 6·25전쟁의 인천 상륙작전과 폭찹힐 전투를 예로 들었다. 인천 상륙작전에서 더글러스 맥아더 당시 유엔군사령관은 5000대 1의 도박을 성공시키면서 전세를 역전했다.

폭찹힐의 현재 모습. 폭찹힐은 제일 멀리 있는 능선의 가장 왼쪽 봉우리다. [사진 위키피디어]

폭찹힐의 현재 모습. 폭찹힐은 제일 멀리 있는 능선의 가장 왼쪽 봉우리다. [사진 위키피디어]

그러나 대다수 한국인에겐 폭찹힐 전투는 낯설다. 폭찹힐은 경기도 연천 비무장 지대에 있는 천덕산 일대의 300m 고지를 가리킨다. 하늘에서 내려다 본 모양이 미국식 돼지고기 요리인 폭찹(pork chop)을 닮았다고 폭찹힐이란 별칭이 붙여졌다.

전투 당시 폭찹힐 지도. 폭찹힐이란 별명은 하늘에서 내려다 본 언덕 모양이 미국식 돼지고기 요리인 폭찹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졌다. [자료 weaponsandwarfare.com]

전투 당시 폭찹힐 지도. 폭찹힐이란 별명은 하늘에서 내려다 본 언덕 모양이 미국식 돼지고기 요리인 폭찹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졌다. [자료 weaponsandwarfare.com]

1953년 4월 16일 중공군 141사단 201연대 소속 한 개 대대가 이곳을 지키던 미 육군 7사단 31연대 E중대를 습격했다. 이후 밀고 밀리는 전투가 7월 6일까지 벌어졌다. 당시 중공군은 휴전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자 미군을 상대로 거둔 승리가 필요했다. 그래서 집요하게 공세를 이어갔다. 전사자만 중공군이 1500명, 미군은 347명이 발생했을 정도로 치열했다. 미군은 결국 폭찹힐을 지켜냈다. 하지만 군사적 가치가 없다고 판단해 전투 종료 5일 뒤인 7월 11일 이곳을 포기했다. 그리고 7월 27일 휴전이 이뤄졌다.

폭찹힐 전투는 펀치볼 전투, 단장의 능선 전투 등과 함께 6·25전쟁서 벌어진 고지전 중 하나다. 규모로 봐서도 그리 크지도 않고, 승전이었지만 결과적으론 고지를 포기했다. 그런데도 트럼프 대통령은 폭찹힐 전투를 왜 거론했을까. 그 이면엔 역사 코드가 숨겨져 있다.

①대중성=미국의 전쟁사학자인 S.L.A. 마셜이 56년 소설 『폭찹힐: 1953년 봄 한국 전투에 참전한 미군 병사(Pork Chop Hill: The American Fighting Man in Action, Korea, Spring 1953)』에서 이 전투를 다뤘다. 이 책을 바탕으로 59년 영화 ‘폭찹힐’이 만들어졌다. 주연은 ‘로마의 휴일’에도 나온 그레고리 펙이 맡았다. 그러면서 미국인에게 가장 잘 알려진 6·25전쟁 중 전투로 남아 있다.

영화에서 미군이 폭찹힐을 중공군으로부터 빼앗으면서 전체 중대원 135명 중 25명만 살아남는 모습이 그려졌다. 미군은 살아남기 위해 백병전까지 마다하지 않는데 사령부는 병력을 증원하지도, 고지를 포기하지도 않았다. 폭찹힐이 추가 병력을 투입할 가치도 없지만, 휴전 협상이 불리할 우려가 있어 포기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1959년 영화 '폭찹힐'의 포스터. 주연은 '로마의 휴일'에서 나온 그레고리 펙이 맡았다. [자료 The War Movie Buff]

1959년 영화 '폭찹힐'의 포스터. 주연은 '로마의 휴일'에서 나온 그레고리 펙이 맡았다. [자료 The War Movie Buff]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최근 북한과의 전쟁에 대비하려면 꼭 읽어야 한다고 추천한 『이런 전쟁(This Kind of War)』에도 폭찹힐 전투가 나온다. 이 책에선 미국의 의지를 시험하고 휴전 협상에서 양보를 얻어내려 중공군이 무모한 공격을 계속했고, 미군은 상부의 무관심 속에서도 일선 중대가 혈투 끝에 방어에 성공한 전투로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유권자가 알 수 있는 전투를 예로 든 것으로 보인다.

②부통령=1952년 45보병사단의 일원으로 6·25전쟁에 참전한 에드워드 펜스 소위는 폭찹힐 전투에서 용감하게 싸워 53년 동성무공 훈장을 받았다. 그로부터 64년 후인 지난 4월 그의 아들이 한국을 찾았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집무실에 놓여 있는 사진. 아버지 에드워드 펜스가 폭찹힐 전투의 무공을 인정받아 1953년 4월 동성 무공성장을 받는 장면이다. [사진 마이크 펜스 트위터]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집무실에 놓여 있는 사진. 아버지 에드워드 펜스가 폭찹힐 전투의 무공을 인정받아 1953년 4월 동성 무공성장을 받는 장면이다. [사진 마이크 펜스 트위터]

아들의 이름은 마이크 펜스. 현재 미국 부통령이다. 그는 “아버지는 45보병사단 소속으로 한국에서 복무하며 한국군과 나란히 전투에 참여했다. 이런 한·미 간 파트너십은 가족과 나에게 큰 자부심”이라며 “아버지가 받은 훈장을 가장 소중하게 여긴다”고 말했다. 그는 부친의 훈장과 훈장증, 훈장을 받는 모습이 담긴 사진 액자를 부통령 집무실에 놓고 항상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백악관 집무실. 아버지 에드워드 펜스의 동성무공 훈장, 훈장증, 훈장을 받는 모습의 사진 액자가 보인다. [사진 마이크 펜스 트위터]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 백악관 집무실. 아버지 에드워드 펜스의 동성무공 훈장, 훈장증, 훈장을 받는 모습의 사진 액자가 보인다. [사진 마이크 펜스 트위터]

펜스 부통령은 방한 첫 일정으로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을 찾아 참배했다. 또 아버지가 실제로 전투를 치렀던 중부전선을 둘러봤다. 펜스 부통령은 좌충우돌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듬직한 조언자다. 지난해 대선 때 상대편인 팀 케인 민주당 부통령 후보와의 토론에서 침착하게 대응해 트럼프의 승리에 일조했다.

마이크 펜스(가운데) 미국 부통령이 4월 17일 오전 항공점퍼를 입고 결연한 표정으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계단을 오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마이크 펜스(가운데) 미국 부통령이 4월 17일 오전 항공점퍼를 입고 결연한 표정으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계단을 오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트럼프 대통령은 펜스 부통령을 배려한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③중국=인천상륙 작전은 한·미를 포함한 유엔군이 북한군을 상대로 펼친 것이었다. 그러나 폭찹힐 전투는 오로지 미군과 중공군과의 일전이었다. 물론 한국군이 카투사로 전투에 참가했다.

폭찹힐 전투 당시 모습. [자료 Pacific Paratrooper]

폭찹힐 전투 당시 모습. [자료 Pacific Paratrooper]

폭찹힐 전투의 막바지인 53년 7월 6일 간 미군에서 중대장 4명 등 243명이 전사하고 916명이 부상했을 정도로 맹렬히 싸웠다. 이중 163명의 유해는 끝내 찾지 못했다. 카투사도 15명이 전사하고 120명이 중상을 입었다.

폭찹힐 전투 당시 모습. [자료 Pacific Paratrooper]

폭찹힐 전투 당시 모습. [자료 Pacific Paratrooper]

중공군의 인명피해는 이보다 막대해 1500여명이 숨지고 4000여명이 후송된 것으로 추정된다.

폭찹힐 전투 당시 모습. [자료 Pacific Paratrooper]

폭찹힐 전투 당시 모습. [자료 Pacific Paratrooper]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국회에서 폭찹힐을 언급한 뒤 바로 전용기인 ‘에이포스 원’을 타고 중국으로 갔다. 한국에겐 한·미의 혈맹 관계를 강조하면서, 동시에 중국에게 미·중은 한때 적이었다는 사실을 일깨워주는 노림수로 풀이된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