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외교·3불은 제거 안 된 지뢰 … 완전한 성적표는 다낭서 받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7일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에서는 양측 합의로 아슬아슬한 ‘지뢰’들은 피했다는 평가다. 진정한 성적표는 11일 베트남 다낭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중 열리는 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의 회담에서 명확해질 것이란 분석이다. 한·미(7일), 미·중(9일) 정상회담 이후 열리는 회담이어서다.

문 대통령, 11일 베트남 APEC 때 #트럼프 만나고 오는 시진핑과 담판 #대북 제재 의지 이끌어낼지 주목

우선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앞두고 불거진 미·중 사이의 균형외교 문제나 한국의 ‘3불(不) 원칙’(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 편입, 사드 추가 배치 검토, 한·미·일 군사 동맹 등 불가) 논란은 큰 부담이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 이후 “미·중 사이에서 균형외교를 하겠다는 게 아니다. 외교 관계를 다변화해 균형 있는 외교 관계를 만들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3불에 대해선 양측이 공개적으로 부각하지 않는 것으로 피해 갔다. 천영우 한반도미래포럼 이사장은 그러나 “기자회견 내용만 봐서는 안에서 실제 어떤 이야기들이 오갔는지, 전략적 교감이 있었는지 알 수 없다. 정상회담보다는 두 정상의 산책이나 만찬장에서 더 중요한 얘기가 오갔을 것”이라며 “실제 얼마나 허심탄회한 얘기가 오갔는지는 앞으로 공조가 얼마나 더 잘 되는지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도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결산하며 “앞으로 넘어야 할 산도 많고 건너야 할 강도 많이 남아 있다”고 했다.

다낭 상황은 다르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을 앞두고 3불 논란까지 빚어 가며 어렵게 성사시킨 한·중 정상회담이다. 시 주석은 문 대통령과 대화를 나눴던 트럼프 대통령을 만난 후 문 대통령을 만난다. 한·미 정상이 북핵 문제에서 중국 측의 적극적인 역할을 끌어내도록 대화했다면 문 대통령 역시 시 주석과의 회동에서 중국의 확실한 의지를 이끌어내야 미국의 우려를 덜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이 문 대통령의 연내 방중 카드를 빌미로 3불 원칙을 보다 명시적으로 약속해 달라고 압박할 수도 있다. 문 대통령으로선 중요한 시험 무대다. 청와대 관계자는 “유엔의 대북제재 결의안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와의 공조 과정에서 중국의 역할을 우회적으로 강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이날 인도네시아 국빈 방문과 APEC 정상회의,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3 정상회의,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참석을 위해 출국, 첫 방문지인 인도네시아에 도착했다.

박유미·위문희 기자 yumi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