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아베의 숨은 무기는 아베노믹스

중앙일보

입력

57년 만의 '14일 연속 주가 상승'이란 대기록을 세운 지난 20일 도쿄 시민들이 닛케이지수가 나오는 금융가 전광판 앞으로 지나가고 있다. [도쿄 EPA=연합뉴스]

57년 만의 '14일 연속 주가 상승'이란 대기록을 세운 지난 20일 도쿄 시민들이 닛케이지수가 나오는 금융가 전광판 앞으로 지나가고 있다. [도쿄 EPA=연합뉴스]

“경제의 거울인 주가가 2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베노믹스가 틀리지 않았다는 증거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의 입으로 통하는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이 중의원 선거전이 한창이던 지난 14일 가마쿠라(鎌倉)시에서 가두연설 중 한 발언이다.
선거 직전인 지난 20일 도쿄증시 닛케이평균주가는 57년 만에 14일 연속 상승하며 분위기를 달궜다.
이는 일본의 고도 경제성장기였던 1961년 1월과 같은 대기록이다.
아베 총리 본인도 15일 삿포로(札幌)시 가두연설에서 “민주당 정권 시절보다 국내총생산(GDP)이 50조 엔(약 516조원)이나 늘었고, 중소기업의 도산 건수도 30%나 감소했다”고 아베노믹스의 실적을 강조했다.
이들의 자신감에서 묻어나듯 실제로 여러 전문가들은 북풍(북한발 안보 위기)과 함께 아베노믹스에 따른 경제 호황을 자민당 승리의 숨은 공신으로 꼽는다.

시장에 돈 풀어 활기, 아베노믹스에 유권자 공감 #지난달까지 58개월 연속 경기회복…전후 2위 #대학생 취업 내정률 90% 넘고, 기업 체감지수도 최고 #"민주당 때 보다 못하다, 빈부 격차만 키워" 비판도 #구로다 총재 연임 가능성…불펜엔 3기 아베노믹스가

아베 2기 정권이 탄생한 5년 전만 해도 일본경제는 ‘잃어버린 20년’으로 통칭되는 장기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분위기였다. 특히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란 악재까지 겹치면서 경기는 급속히 얼어붙었다.
그러나 아베노믹스가 본격 가동된 2013년 이후 상황은 역전됐다. 아베노믹스의 핵심은 양적완화와 재정지출, 민간투자다. 초저금리 정책으로 시중에 돈을 풀어 경기를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아베 총리는 집권과 동시에 아베노믹스를 강하게 밀어부쳤다. 일본은행 총재에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를 앉히고 대규모 금융완화를 시작했다. '일본판 21세기 뉴딜'에 해당하는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도 적극 추진했다. 동일본 대지진으로 파괴되거나 장기 침체기 동안 손 보지 않았던 노후화된 다리와 구조물 등이 우선 대상이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소방관들이 지진 해일과 화재로 온마을 초토화된 이와테현 게센누마에서 수색작업을 하고 있다. 고 김태성 기자가 촬영한 사진. [중앙포토]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소방관들이 지진 해일과 화재로 온마을 초토화된 이와테현 게센누마에서 수색작업을 하고 있다. 고 김태성 기자가 촬영한 사진. [중앙포토]

동일본 대지진 5년 뒤 복구한 후쿠시마의 한 마을 전경. [중앙포토]

동일본 대지진 5년 뒤 복구한 후쿠시마의 한 마을 전경. [중앙포토]

2015년 9월에는 2기 아베노믹스 정책이 나왔다. 아베 정권은 '1억 총활약 사회'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명목 GDP 600조 엔 달성, 희망 출산율 1.8 실현, 노인요양을 위한 이직 제로(0) 실현" 등을 이루겠다고 주장했다. 고질적인 일본병까지 아베노믹스로 해결하겠다는 각오였다.
아베노믹스에 따른 경기회복은 뚜렷하다. 급기야 지난달에는 58개월 연속 경기회복 추세를 이어가며 전후 2위였던 ‘이자나기 경기(1965년 11월~1970년 7월)’를 넘어섰다.
체감경기도 확연히 개선됐다. 단적인 것이 대졸 예정자들의 취업 내정률이다. 내년 3월에 졸업하는 대학 4학년생들의 내정률은 이미 90%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여러 기업에 동시 내정되는 경우도 흔하다. 인재 서비스업체 리쿠르트캐리어에 따르면 지난달 1일 현재 취업 내정자 1명당 결정된 기업 수는 평균 2.47개다. ‘일자리 풍년’이 계속되는 탓에 상당수 기업들은 인재 확보 쟁탈전을, 대졸자들은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대기업들의 단기 체감 경기를 나타내는 지수도 2007년 이후 최고치다. 일본은행이 지난 2일 발표한 3분기 전국기업단기경제관측조사(단칸·短觀)에서 업무상황판단지수(DI)는 전 분기보다 5포인트 상승한 22를 기록해 10년 만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일본의 주력 업종인 전기·전자와 자동차에서의 대규모 설비 투자가 지수 상승을 견인하고 있어 향후 전망도 밝게 한다.
부동산도 대도시를 중심으로 크게 올랐다. 부동산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수도권 신축 아파트 평균가격은 5884만 엔(약 5억9035만원)으로 버블 경제 말기인 1991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게다가 가계 금융자산도 크게 증가해 연 2.9%씩 늘고 있다.
물론 아베노믹스에 대한 상반된 평가도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7일 칼럼에서 “민주당 정권 3년과 비교할 때 아베 정권 4년간 실적이 더 좋다고 볼 수 없다”며 “연평균 GDP 성장율은 1.1%로 민주당 정권 시절의 1.8%보다 낮고, 소비 성장도 연평균 0.4%로 동일본대지진을 맞았던 민주당 3년 실적인 1.3%보다 낮다”고 평가했다.
신생당 희망의당을 내걸고 ‘아베 1강’ 견제에 나섰던 고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 도쿄도지사도 선거 당시 “아베노믹스가 실제로 가계에 파급을 준 게 뭐가 있냐”고 몰아 부쳤다. 실질적인 임금 상승으로 이어지지 않아 소비를 진작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오히려 양극화만 더욱 가속화시켰다는 비판도 나온다.
그러나 실제 선거전에선 이 같은 논리가 유권자에게 잘 먹히지 않았다. 오히려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들은 선거가 끝나기도 전에 "자민당의 대승으로 일본은행의 금융완화 정책 등 아베노믹스는 더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예견했다.
자민당의 압승으로 아베노믹스를 실질적으로 뒷받쳐온 구로다 총재의 연임도 확실시되고 있다. 당초 구로다 총재는 내년 4월쯤 양적 완화를 끝낼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선거가 한창인 15일 세계 주요 30개국 국제은행 연례 세미나에 참석한 그는 "일본은 물가상승률 목표 2%를 달성하기 위해 공격적인 통화 완화 정책을 계속 추진할 것"이라고 말하며 아베노믹스에 힘을 실었다. 3기 아베노믹스의 밑그림이 완성돼 있다는 뜻이다.
김상진 기자 kine3@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