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 폭 30만명대 회복…청년 체감실업률은 '꽁꽁'

중앙일보

입력

[자료 통계청]

[자료 통계청]

 9월 취업자 증가 폭이 30만 명대를 회복했다. 하지만 청년 체감실업률은 여전히 높았다.

통계청, 18일 9월 고용동향 발표 #취업자 수 1년 전보다 31만4000명 증가 #실업률 0.2%p 줄었지만 청년 체감실업률 ↑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전체 취업자 수는 2684만4000명으로 지난해 9월보다 31만4000명 증가했다. 8월 증가 폭이 21만2000명까지 하락했다가 한 달 만에 다시 30만 명대로 올라섰다.

 증가 폭 회복에는 건설업이 영향을 미쳤다. 비가 많이 와 공사를 쉬는 날이 많았던 8월에 비해 9월 날씨가 좋아지면서 일용직 일자리가 회복됐다. 추석을 맞아 활기를 띤 도소매업에서도 고용이 개선됐다. 고령화로 수요가 증가하는 보건복지업과 추경 예산 집행으로 탄력을 받은 공공행정ㆍ국방및사회보장행정 분야 고용도 증가세를 보였다.

 제조업 일자리는 수출 호조가 지속되면서 1년 전보다 2만4000명 증가해 넉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증가 폭이 8월(2만5000명)보다 다소 둔화했다.

 지난달 고용이 증가했던 교육서비스업은 감소로 돌아섰다. 금융 및 보험업, 전문ㆍ과학 및 기술서비스업도 고용이 줄었다.

 자영업자는 4만5000명 늘었다. 8월에 3000명 줄어들며 마이너스로 돌아섰다가 한 달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고용 관련 지표는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나타냈다. 경제활동참가율(63.4%)이 0.1%포인트 올랐고 고용률(15~64세, 66.9%)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실업률은 3.4%로 한 달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실업자 수도 1년 전보다 5만1000명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20~24세와 30대, 40대 등에서 실업자가 줄었고 25~29세, 50대에서는 반대로 늘었다.

 하지만 청년 일자리 여건은 여전히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청년 고용보조지표3이 21.5%(107만명)를 기록하며 1년 전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올들어 22~23%대를 기록했던 상승세가 다소 둔화되긴 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청년층 실업률이 9.2%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지만 이는 인구가 줄어든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김이한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9월 고용이 추경집행 효과 등으로 반등했지만 건설경기 둔화 가능성 등 위험요인이 상존해 있다”면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정책 등을 속도감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심새롬 기자 saero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