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6자회담] 새로운 쟁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6자회담이 시작되면서 북핵 해결 방안 외에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론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북핵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동전의 양면으로 보는 시각은 중국.러시아, 남북 입장에 잘 나타나 있다. 반면 미국과 일본은 북핵 폐기 등 현안 해법 찾기에 무게를 싣고 있다.

중국 수석대표인 왕이 외교부 부부장은 26일 각국 대표단 환영 만찬에서 "이번 회담을 한반도에 영원한 평화를 정착시키는 기회로 만들자"고 말했다. 그는 중국 언론과의 회견에서도 "모든 참가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담보하는 전반적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21세기 국가 목표인 '발전'을 방해하는 주변의 불안정 요인을 걷어내면서 한반도 새 질서 구축에도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가 드러난다. 동시에 북한에 6자회담의 틀이 곧 체제보장으로 이어질 것임을 강조한 셈이다.

러시아 수석대표 알렉산드르 로슈코프 외무부 차관은 보다 직접적으로 언급했다.

그는 26일 "현재의 휴전협정을 대체할 협상 시스템의 창출이 필요하며, 이것이 이 지역 모든 나라를 위해 정상적이고 안정된 발전을 보장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반도의 평화는 러시아에 동진(東進)의 길을 열어주고, 시베리아 개발의 기회를 준다.

북한도 핵 문제 이후를 내다보는 인상을 풍긴다. 노동신문은 27일 6자회담 논평에서 "조.미 사이의 예민한 핵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고 조선반도의 공고한 평화와 안전을 이룩하는 데서 획기적인 국면이 열리기를 바라고 있다"고 강조했다.

베이징 특별취재팀=김석환 논설위원, 유상철.유광종 베이징 특파원, 오영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