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력설비 예비율, 현행 22% 유지가 적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지난달 11일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설비계획 초안 공개 당시 모습.[연합뉴스]

지난달 11일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설비계획 초안 공개 당시 모습.[연합뉴스]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계획대로 추진해도 비상시를 대비한 예비 전력설비량은 현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전력정책심의위원회(심의위) 산하 민간 전문가 모임인 ‘예비율 워킹그룹’은 13일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년)에 포함될 ‘적정 설비 예비율’을 현재의 22% 수준으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전력심의위 전문가 모임서 결론 #당초 최대 2%P 축소 계획 변경

적정 설비예비율은 비상상황에 대비해 확보하는 추가 발전설비 비율이다. 발전소 정비나 고장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최소 예비율’과 수요 변동 등에 대응하는 ‘수급 불확실 대응 예비율’로 구성된다. 워킹그룹은 최소 예비율 13%, 수급 불확실성 대응 예비율을 9%로 봤다.

당초 심의위는 지난달 공개한 초안에서 2031년의 적정 설비 예비율을 지금보다 최대 2%포인트 줄어든 20~22% 수준으로 전망했다. 향후 전력수요가 감소하는 데다, 원자력 발전 비중이 줄고 신재생이나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비중이 늘어나면 예비율을 높게 가져갈 필요가 없다고 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워킹그룹은 13일 예비율을 현재 수준에서 더 낮추지 않았다. 이는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날씨 등에 따라 발전량이 달라지는 특성)을 보완해야 하기 때문이다. 워킹그룹 위원인 노재형 건국대 교수는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30년까지 20%까지 확대하더라도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은 보완해야 한다”며 “보수적으로 계산해보니 발전 설비가 더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고 말했다.

노 교수는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는 설비는 양수발전소, 가스터빈,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이 있다”며 “설비 구성 계획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