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외교장관 전화통화…북한 미사일 대응책 온도차 보여

중앙일보

입력

지난달 7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서 기념촬영 중인 왕이 중국 외교부장(왼쪽)과 고노 다로 일본 외상. [AP=연합뉴스]

지난달 7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서 기념촬영 중인 왕이 중국 외교부장(왼쪽)과 고노 다로 일본 외상. [AP=연합뉴스]

일본 고노 다로 외무상과 중국 왕이 외교부장이 1일 전화통화를 하고 북한 미사일 문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고노 외무상과 왕 부장은 이날 오후 40분간 전화통화에서 한반도의 비핵화가 양국의 공통 목표라는 기본 방침에 대해 인식을 공유했다.

 고노 외상은 지난달 29일 북한이 일본 영공을 통과해 발사한 미사일에 대해 "지금까지 없었던 심각하고 중대한 위협으로, 결코 용서할 수 없다"며 압력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의 새로운 제재결의 채택에 협력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왕 부장은 북한과의 대화를 중시하는 지금까지의 입장을 반복하며 신중 자세를 내비쳐 북한 미사일 문제 대응에 대한 양국 간 온도차를 드러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 부장은 이번 통화에서 "한반도 문제의 본질은 안보문제"라며 중국이 제안한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 평화협정 협상과 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이 북핵문제의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왕 부장은 "각국의 합리적인 안보 우려를 균형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화의 해결 궤도로 돌아와야 한다"면서 "이러한 노력이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에 완전히 부합할 뿐 아니라 일본을 포함한 각국의 공동 이익에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왕 부장은 지난달 7일 중·일 외교회담에서 고노 외상을 향해 "당신의 부친은 정직한 정치가로, 위안부 담화(고노 담화)에서도 일본의 성의를 대표했다"며 "당신이 외상이 됐다는 걸 알고 많은 기대를 했지만 오늘 동아시아정상회의(EAS)외상회의에서의 발언을 듣고 솔직히 실망했다"며 밀어 붙였다. 고노 요헤이 전 외상은 위안부 강제 동원을 인정했던 '고노 담화'를 발표한 바 있다.

김민상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