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ㆍ18 당시 군 발포 명령 담은 내부 문건 첫 공개

중앙일보

입력

5ㆍ18 기념재단이 공개한 발포 명령 하달 군 내부 문건. [사진 5.18 기념재단]

5ㆍ18 기념재단이 공개한 발포 명령 하달 군 내부 문건. [사진 5.18 기념재단]

1980년 5월 5ㆍ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군의 발포 명령 하달 내용을 담은 군 내부 문건이 24일 처음으로 공개됐다.

5ㆍ18 기념재단, 505보안부대가 작성한 것으로 추정 #' 유사시 발포 명령 하달(1인당 20발)' 내용 담겨 #2007년 과거사진상규명위 조사와 일치 #군 내부 문서로 확인은 처음 #

5ㆍ18기념재단은 이날 ‘광주 소요 사태(21-57)’라는 제목의 문서를 공개했다. 1쪽 분량의 문서는 광주에 주둔하던 505보안부대에서 작성한 것으로 5ㆍ18기념재단은 파악했다.

문서에는 ‘23:15 전교사 및 전남대 주둔 병력에게 실탄 장전 및 유사시 발포 명령 하달(1인당 20발)’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이 내용 바로 아래에는 ‘광주 소요가 전남 전 지역으로 확대됨에 따라 마산 주둔 해병 1사단, 1개 대대를 목포로 이동 예정’이라는 문구도 있다.

또 ‘23:00 완전 무장한 폭도가 1만여명에 달하고 있음’이라는 표현도 있다. 문서 맨 하단에는 ‘(80. 5. 21 00:20. 505)’ 등 숫자가 적혀 있다.

5ㆍ18기념재단은 이 숫자를 볼 때 광주에 주둔한 505보안부대가 80년 5월 21일 0시20분에 문서를 작성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따. 또 문서 작성 하루 전날인 오후 11시15분에 군이 발포 명령 하달을 지침을 세운 것으로 봤다.

5월 21일은 계엄군이 전남도청 앞에서 광주 시민들에게 집단 발포를 한 날로 그동안 군 관계자들의 증언과 관련 조사 등을 통해 5월 20일 첫 실탄 지급 내용이 알려졌다. 이는 "5월 20일 밤, 첫 실탄이 지급됐다"던 2007년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의 조사 결과와 일치하는 내용이다. 다만 군 내부 문서를 통해 확인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5ㆍ18기념재단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5ㆍ18 특별조사단 구성 계획을 밝힌 국방부가 이번 군 내부 문건 공개를 계기로 투명한 조사를 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5·18기념재단 관계자는 “그동안 5·18 당시 실탄을 장전하라고 했다는 당시 계엄군들의 증언은 있었으나 ‘실탄 장전 및 유사시 발포 명령을 하달(1인당 20발)했다’는 지침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발포 명령자 등 진상규명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광주광역시=김호 기자 kim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