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기후변화로 잦아진 폭우…백두대간도 무너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리산 천왕봉 주변에 발생한 산사태 모습 [사진 녹색연합]

지리산 천왕봉 주변에 발생한 산사태 모습 [사진 녹색연합]

경남 함양군 마천면 지리산 천왕봉과 제석봉 사이 북쪽 경사면.
해발 1700m에 이르는 이곳에는 2014년 여름 대규모 산사태가 두 차례 발생하면서 마치 채석장처럼 돌무더기가 길게 무너져내렸다.
산사태가 발생 두 곳 가운데 한 곳은 돌무더기 길이가 700m가 넘고 면적도 3만㎡에 이른다. 다른 한 곳은 길이가 300여m로 면적도 1만㎡ 정도다.
이 산사태로 인해 구상나무·가문비나무·주목 등 지리산의 아(亞)고산대 지역 천연림이 쓸려내려가 버렸다.

녹색연합, 산사태 현장 실태 보고서 공개 #지리산·설악산 등 보호지역 산사태 상황 담아 #2014년 여름 지리산에서는 두 곳 4만㎡ 발생 #설악산에선 2006년 태풍 때 250여 곳 무너져 #"산림은 온대림인데, 최근 강수는 아열대성" #온난화로 인한 침엽수림 쇠퇴도 원인 가능성 #기상 관측 강화하고 탐방로 토양침식 살펴야 #"필요한 곳은 상황 어려워도 복구해야" 지적도

이처럼 백두대간 등 고산지대에서 산사태 피해가 갈수록 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후변화로 인해 한반도에 폭우가 쏟아지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면서 고산지역 산림생태계도 피해를 보고 있다는 것이다.

지리산의 산사태 모습 [사진 녹색연합]

지리산의 산사태 모습 [사진 녹색연합]

녹색연합은 20일 '2017 기후변화 산사태 현장 실태 보고서'를 공개하고, 지리산·설악산·덕유산 등 백두대간 내 국립공원과 방태산·점봉산 등 산림보호구역,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 등 전국적으로 고산 지역에서 산사태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녹색연합은 이 보고서를 통해 13개 산에서 발생한 14개 지점에 대해 구체적인 산사태 면적 등을 제시했다.

녹색연합 측은 "2010년 이전에 발생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지리산의 경우 2014년에 발생했고, 대암산·왕피천 지역의 경우는 과거에 발생한 산사태 피해가 최근에 다시 확대되는 것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2006년 폭우로 발생한 설악산 대청봉 주변의 산사태 현장 [사진 녹색연합]

2006년 폭우로 발생한 설악산 대청봉 주변의 산사태 현장 [사진 녹색연합]

지리산에서는 천왕봉을 중심으로 한 동부권역에서만 36개의 산사태 발생지점이 확인됐다.
설악산에서는 2006년 7월 태풍으로 인해 산사태가 집중적으로 발생, 현재 250여 개 지점에서 산사태가 확인되고 있다.
설악산 대청봉과 중청봉 사이에서 천불동 계곡 방향으로 발생한 산사태는 2006년 처음 발생한 이후 면적이 점점 넓어지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006년 수해로 산사태가 난 설악산 대청봉 부근 절개지에 지난 2007년 보강공사를 실시한 모습. [중앙포토]

2006년 수해로 산사태가 난 설악산 대청봉 부근 절개지에 지난 2007년 보강공사를 실시한 모습. [중앙포토]

녹색연합 서재철 전문위원은 "기후변화로 인해 산림이 버티기 힘들 정도의 폭우가 잦아지고 있다"며 "한반도 산림생태계는 온대 기후에 적응해왔으나 최근 강우 형태가 아열대화되면서 산사태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지리산·설악산 등 고산지역의 침엽수가 기후변화 등의 원인으로 쇠퇴하고 있는 것도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침엽수는 원래 활엽수에 비해 뿌리가 얕은 천근성(淺根性)인데다, 침엽수림이 허약하고 병까지 들면 뿌리를 통해 빗물이 암반과 토양층 사이에 스며들면서 산사태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서 전문위원은 "무엇보다 산사태 발생 실태에 대한 정부 차원의 정밀조사가 시급하다"며 "고산지대 국립공원에 대한 기상관측을 강화하고, 식생 건강 상태나 탐방로로 인한 토양 침식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산지대 산사태의 피해 복구 문제에 대해서도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산사태 복구와 관련해 전문가들도 이견을 보였다.
서울시립대 이수곤(토목공학과) 교수는 "고산지역 산사태는 자연적인 현상이므로 복구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그것보다는 인명·재산 피해와 연결되는 인위적 개발이 원인인 산사태의 피해 예방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사태 자체는 막기는 어렵기 때문에 산사태 우려지역에서는 콘크리트로 건물을 튼튼히게 짓거나, 옹벽을 쌓아 토사가 건물로 쏟아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인제 가리봉에서 발생한 산사태 [사진 녹색연합]

인제 가리봉에서 발생한 산사태 [사진 녹색연합]

국립산림과학원 윤호중 산림방재연구과장은 "백두대간 산사태 발생지역은 급경사 지역이어 도로도 없고 사람이 서 있을 수도 없는 곳이 많아 복구 작업 자체가 쉽지 않다"며 "하지만 경우에 따라 복구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한 지역도 있다"고 말했다.

윤 과장은 또 "산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간벌 등 산림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국립공원이라고 해서 산림에 절대 손을 대지않고 보존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고 덧붙였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