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계란서도 살충제 검출 … 오늘부터 출하 제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식용 목적의 가축에서 사용이 금지된 살충제 ‘피프로닐(Fipronil)’이 국내산 계란에서도 검출됐다. 유럽의 ‘살충제 계란’ 논란 사례와 동일한 약품으로, 국내에서 피프로닐이 검출된 것은 처음이다. 국내산 계란에서도 피프로닐이 검출됨에 따라 정부는 15일 0시부터 전국의 3000마리 규모 이상의 농가에서 생산되는 모든 계란의 출하를 전격 중단시켰다. 또 3일 이내 이들 농장을 대상으로 전수 검사를 실시해 합격한 농가의 계란만 출하할 방침이다.

정부, 경기 남양주·광주 농가서 확인 #“3000마리 이상 농장 계란 출하 중단 #전수검사 뒤 합격 때만 유통 허용”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내 친환경 산란계 농장을 대상으로 한 일제 잔류농약 검사 도중 경기도 남양주시의 한 농가에서 피프로닐이 검출됐다고 15일 밝혔다. 피프로닐은 가축의 벼룩·진드기를 제거하기 위한 살충제로, 식용 목적의 가축에는 사용이 금지돼 있다. 8만 마리 규모의 산란계를 사육하는 이 농가는 하루 평균 2만5000개의 계란을 생산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피프로닐이 검출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 농가에서 생산된 계란에 대한 유통 및 판매를 잠정 중단하고, 해당 계란에 대한 정밀검사를 실시해 부적합 판정이 나올 경우 전량 폐기할 계획이다.

한편 경기도 광주시의 한 농가에선 또 다른 살충제 ‘비펜트린(Bifenthrin)’이 기준치(0.01㎎/㎏)를 0.0057㎎/㎏ 넘겨 검출됐다. 비펜트린은 피프로닐과 마찬가지로 벼룩이나 진드기 등을 없애기 위한 살충제지만 기준치 이내에선 사용이 가능하다.

박상욱, 심새롬 기자 park.lepremi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