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국제영화제 주목할 감독] 슬로베니아 마야 바이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7면

지난 22일 개막한 제3회 광주국제영화제가 나흘째 차분하게 진행되고 있다. 광주영화제는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배우나 감독보다는, 지명도는 떨어지더라도 자기의 영화 세계가 확고한 인물들을 주로 초청해왔다. 슬로베니아의 여성감독 마야 바이스('국경의 수호자')와 프랑스의 장 피에르 리모쟁('노보(Novo)')도 그런 경우다.

'국경의 수호자'는 여성 감독이 만든 첫 슬로베니아 영화다. 슬로베니아는 1991년에 생긴 신생 국가.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되면서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등으로 나뉘었다.

인구 2백여만명의 이 국가에서 연간 만들어지는 영화는 겨우 대여섯 편. 가뜩이나 보수적인 국가라 여성이 메가폰을 잡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대학에서 영화를 전공한 바이스는 졸업 후 12년간 다큐멘터리와 TV 드라마 등을 만들며 역량을 쌓아 장편영화를 만들 기회를 잡았다.

'국경의 수호자'는 세 여대생이 주인공. 방학을 맞아 카누 여행을 떠나는데 그 강은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를 나눈다. 영화는 과거엔 한 국가였던 지역이 두 나라로 나뉘면서 서로 반목하는 국가이기주의적 태도,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 넘어가면서 생기는 세대간 갈등, 성의 개방 등 다채로운 문제를 다룬다.

"감독이 여자일 뿐 아니라 주인공도 모두 여성이라는 점을 충격적으로 받아들일 만큼 슬로베니아는 폐쇄적이고 보수적이에요. 게다가 제 영화에 여성간의 동성애가 나오고 남자의 성기가 노골적으로 드러났으니 난리가 났죠."

개봉 후 감독을 비난하는 편지 공세가 쏟아졌으나 다큐멘터리를 만들 때도 마약과 매춘 등 사회적으로 예민한 문제를 다뤄온 바이스는 별로 개의치 않았다. 다행히 정부로부터 검열이나 제재는 전혀 없었다고 한다.

"동성애나 민족주의, 세대문제 등은 특정 지역, 특정인의 문제가 아니죠. 한국에도 있을 수 있는 문제고 거의 모든 국가, 모든 사람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이슈죠. 나는 모든 관객이 내 영화를 좋아해 주길 바라지 않아요. 비록 소수의 관객이라도 내가 제기하는 문제에 공감하고 고민할 수 있다면 그걸로 충분해요."

시나리오부터 완성까지 6년이 걸렸지만 지난해 베를린영화제에 초청받아 주요 상을 받는 등 세계적으로 반응이 좋아 자신을 얻었다는 그는 다음 작품은 좀 더 짧은 시간에 찍을 수 있겠다며 활짝 웃었다. 그러면서 슬쩍 보여주는 지갑 속에는 엄마와 닮은꼴로 웃고 있는 두 아들의 모습이 단정히 끼워져 있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