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방방 뛰진 않아도 이 시원한 맛 … 지산 밸리록, 북유럽 감성에 흠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북유럽 음악을 대표하는 뮤지션들이 지산 밸리록에서 색다른 무대를 선보였다. 사진은 시규어 로스. [사진 CJ E&M]

북유럽 음악을 대표하는 뮤지션들이 지산 밸리록에서 색다른 무대를 선보였다. 사진은 시규어 로스. [사진 CJ E&M]

‘여름=록페’라는 공식은 깨진 지 오래다. 전 세계적으로 대세인 EDM(Electronic Dance Music)이 록 페스티벌의 헤드라이너 자리를 차지하고, 봄·가을에도 주말마다 각종 페스티벌이 넘쳐나는 상황에서 더이상 ‘로큰롤’을 외치기 위해 한여름에 록페를 찾는 사람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28~30일 경기 이천에서 열린 국내 최대 규모의 록 페스티벌인 지산 밸리록도 예외는 아니었다.

외연 넓힌 지산 록페 가보니 #활로 기타 켜는 시규어 로스 #아이슬란드 서늘한 사운드 선사

밸리록은 지난해 ‘지산 밸리록 뮤직앤드아츠 페스티벌’로 이름을 바꾸고, 음악적 장르의 외연을 넓히는 것은 물론 현대미술을 접목해 보고 듣는 즐거움을 키웠다. 스키장 슬로프에 설치된 윤사비 작가의 ‘프리즘’이나 출연 아티스트의 사진을 3차원 조형물로 재구성한 권오상 작가의 ‘뉴 스트럭쳐’ 등 공연장 곳곳에 작품이 설치돼 있다.

메인 무대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헤드라이너 선정도 이와 궤를 같이한다. 미국 EDM 프로젝트 그룹 메이저 레이저(28일)나 영국의 가상밴드 고릴라즈(30일)는 차치하더라도 사실상 가장 많은 관객이 모이는 둘째 날을 아이슬란드의 시규어 로스에게 맡긴 것은 다소 과감한 선택이다. 라디오헤드가 “우리 음악에 많은 영향을 준 밴드”로 꼽고, 아이슬란드 국보급 밴드로 추앙받는 20년 차 그룹이지만, 보컬 욘시가 만든 언어인 ‘희망어’로 노래하는 낯섦이 전제된 음악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들은 에메랄드빛 은하수를 풀어놓은 듯한 영상 위로 ‘사이로퍼(Saeglopur)’를 들려주며 2만5000명의 관객을 다른 시공간으로 인도함으로써 기우를 잠재웠다. 욘시가 활로 기타를 켜는 선율에 맞춰 관객들은 우주 한가운데 떨어진 적막함을 맛보기도 하고, 아이슬란드 고원 어딘가에서 오로라를 보는 듯한 황홀함에 취하기도 했다. 두 손 들고 방방 뛰는 것이 록의 전부가 아님을 몸소 보여준 것이다.

2012년 나란히 데뷔한 아이슬란드 싱어송라이터 아우스게일과 보컬 루카스를 프론트맨으로 내세운 덴마크 3인조 밴드 루카스 그레이엄은 남다른 감성을 자극하는 북유럽 뮤지션의 계보를 이을 만한 무대를 선보였다. 데뷔 앨범 ‘인 더 사일런스(In The Silence)’로 아이슬란드 국민 10명 중 1명은 가지고 있는 앨범이라는 타이틀을 갖게 된 아우스게일은 서늘한 목소리로 무더위를 식혔다.

아우스게일. [사진 CJ E&M]

아우스게일. [사진 CJ E&M]

공연 전 만난 아우스게일은 “다른 곳에서는 절대 들어보지 못한 독창적인 음악이 아이슬란드 음악의 매력”이라며 “아이슬란드 신화 등 문학작품에도 자연에 관한 메타포가 많기 때문에 아무래도 자연에서 많은 영감을 얻는다”고 말했다. 시인인 아버지와 기타리스트 형이 함께 작사한 노랫말이 운치를 더한다.

아우스게일이 성스러움을 자아내는 밤의 뮤지션이라면 첫 내한한 루카스 그레이엄은 통통 튀는 밝은 낮의 매력을 뽐냈다. 시종일관 유머러스하던 그가 영국 UK 싱글 차트에서 5주 연속 1위를 차지한 ‘7 이어스(7 Years)’를 비롯 ‘해피 홈(Happy Home)’을 선보일 땐 눈물을 훔치는 관객들도 적지 않았다. 주로 “엄마가 말하기를(Mama said)”로 시작해 자전적 경험을 담은 그의 가사는 북유럽판 ‘서른 즈음에’로 불릴 정도로 나의 7살, 20살을 회상하게 하는 울컥한 매력이 있기 때문이다. 그가 ‘덴마크 음유시인’이라 칭송되는 이유기도 하다.

루카스 그레이엄. [사진 CJ E&M]

루카스 그레이엄. [사진 CJ E&M]

패션과 인테리어에 이어 음악에도 불고 있는 북유럽 바람은 영미권 주류 음악에 대한 대안적인 선택이기도 하다. 마치 풍경화를 보는 듯한 음악과 생각할 여지를 만들어주는 공간감 덕분에 음악에 대한 새로운 체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음악평론가 김작가는 “북유럽은 국가마다 노르웨이는 데스메탈, 스웨덴은 EDM 등 음악적 토양이 매우 다채롭다”며 “페스티벌 자체가 청년 레저산업이 된 상황에서 더 다양한 음악을 능동적으로 찾아나서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이천=민경원 기자 story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