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잦은 지진에 불안했는데"…월성 1호기 조기 폐쇄 환영 분위기

중앙일보

입력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위치한 월성원전 1호기 전경. [사진 한국수력원자력]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위치한 월성원전 1호기 전경. [사진 한국수력원자력]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경북 경주시 월성원전 1호기를 가급적 일찍 폐쇄하겠다고 밝히자 환경단체와 주민들은 환영했다. 월성 1호기는 2012년 설계수명 30년이 끝난 노후원전이다. 하지만 한국수력원자력이 10년 연장 승인을 받아 가동을 이어가고 있다.

文 대통령 월성 1호기 폐쇄 방침 밝히자 #환경단체 "지금이 가동 멈출 적기" 환영 #지진 불안 떨던 주민들 "폐쇄하니 다행"

문 대통령은 이날 "현재 수명을 연장해 가동 중인 월성 1호기는 전력 수급 상황을 고려해 가급적 빨리 폐쇄하겠다"며 "설계 수명이 다한 원전 가동을 연장하는 것은 선박운항 선령을 연장한 세월호와 같다"고 말했다.

이상홍 경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월성 1호기 폐쇄는 문 대통령의 공약 사항이었고 이를 재천명한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공교롭게도 월성 1호기는 지난달 28일 계획예방정비를 위해 출력을 줄이던 중 원자로가 멈춰 가동이 중단된 상태"라며 "전력 수급 상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바로 지금이 월성 1호기를 폐쇄할 적기다. 문 대통령의 빠른 결단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민들도 환영하고 있다. 경주시 노동동에 사는 박현주(36·여)씨는 "수명을 다한 원전을 폐쇄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폐쇄 이후 방사성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일까지 제대로 마쳐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황성동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전모(51)씨는 "지진에도 끄떡없도록 지어졌다고 하지만 수명이 지난 월성 1호기는 불안하게 느껴졌는데 잘 결정한 것 같다"고 했다.

 경주시 양남면에 위치한 월성원전 1호기는 지난 1982년 11월 21일 전력 생산을 시작했다. 한국이 급격하게 산업화하던 80년대 부족한 전력 생산량을 채워주는 데 크게 기여했다. 월성원전 1호기 폐쇄를 둘러싼 논란은 2012년 11월 20일 월성 1호기가 설계수명을 다 채우며 시작됐다.

한수원은 2013년 월성 1호기에 대한 안전기능, 비상사고 관리능력 등을 점검하는 스트레스 테스트를 거치고 2015년 2월 27일 연장 가동 허가를 받았다. 기존 계획대로라면 2022년까지다.

한편 신고리 5,6호기가 들어서는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주민들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백지화 이유가 명확해야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상대 서생면 주민협의회장은 "신고리 5,6호기는 기존 원전보다 내진설계가 강화됐는데 이게 불안하다면 가동 중인 고리 2호기부터 신고리 4호기 등 7기의 안전성은 어떻게 담보할 수 있느냐"며 "안전 대책을 마련한 후에 신고리 5,6호기 건설 백지화를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단체는 문 대통령이 신고리 5,6호기의 전면 백지화를 선언하지 않아 아쉽다면서도 에너지 정책을 탈핵으로 전환한 만큼 조만간 구체적인 후속 대책이 뒤따를 것으로 기대했다. 최수영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탈핵 기조로 돌아선 만큼 조만간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새울원자력본부는 정부의 구체적인 건설 중단 지침이 내려올 때까지 신고리 5,6호기 공사를 이어나갈 방침이다. 새울원자력본부 관계자는 "정부의 건설 중단 지침이 있기 전까지 신고리 5,6호기 공사를 계속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경주·울주=김정석·이은지 기자
kim.jung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