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북 도발 땐 제재하되, 인도적 지원은 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기회가 되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꼭 한번 뵈러 가겠다.” “북한이 추가 도발을 하면 더 강력한 제재를 해야 한다. 하지만 인도적 지원은 인류 보편적 가치의 문제이고 정치적인 고려와는 별도로 해야 한다는 게 유엔의 원칙이고 그렇게 해야 한다.” 25일 입국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의 정책 일성이다.

어제 귀국, 청문회 준비 시작 #“기회 되면 위안부 할머니 만날 것 #DJ 통역하며 북핵 이슈 많이 배워”

강 후보자는 이날 새벽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 인근에 마련된 임시 사무실로 출근하며 두 차례 기자들을 만났다. 그는 12·28 위안부 합의 재협상 문제,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의 비준 동의 등 예민한 현안에 대해서는 답을 하지 않았다. 다음은 기자들과의 일문일답.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25일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인근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25일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인근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관련기사

청문회가 통과되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만날 계획인가.
“지난 휴가 때에도 뵈려고 연락했더니 마침 한 분이 편찮으시다고 해 가지 못했다. 기회가 되면 꼭 한번 가볼까 한다.”(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2015년 12월 28일 한·일 간 위안부 합의 타결 이후 개별 거주 피해 할머니를 두 차례 만난 적이 있지만 합의에 반대한 지원 시설 거주 피해 할머니들은 방문하지 않았다. 대신 외교부 1·2차관이 합의 직후 각각 정대협 쉼터와 경기도 나눔의집을 찾았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두 차례 발사했다. 추가 제재가 필요한가.
“추가 도발이 있으면 더 강력한 제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러 외교 사안에 대해서는 업무보고를 받은 다음에 좀 더 깊이 답변드릴 수 있을 것 같다.”
4강 외교와 북핵 문제를 직접 다뤄본 적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데.
“북핵은 한반도 문제일 뿐 아니라 국제사회 문제로서 유엔에서도 여러 번 다뤄졌다. 제가 외무부에서 (김대중 당시) 대통령 통역을 3년간 맡았을 때도 북핵이 큰 이슈였다. 정상외교 차원에서 다뤄질 때 관찰할 수 있었고 많은 것을 배운 바 있다. 전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북한과의 대화채널 복원이 필요하고, 인도적 지원은 어떤 조건에서도 실시해야 한다는 소신에 변함이 없는가.
“그것이 유엔의 원칙이다. 인도적 지원은 인간이 고통받는 점에서 해야 하는, 어떤 인류 보편적인 가치이기 때문에 정치적인 고려와는 별도로 해야 된다는 것이 유엔의 원칙이고 그렇게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장녀 위장전입과 이중 국적 문제에 대해 청문회에서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청문회에서 보다 소상히 말씀드리겠다.”
어떤 부분에 중점을 두고 인사 청문회 준비를 할 것인가.
“제가 일단 업무보고를 받아봐야겠지만 직면한 여러 외교 사안에 대해 깊이 있는 브리핑을 받고 면밀히 준비할까 한다.”

유지혜 기자, 영종도=여성국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