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정협의체 문제 협의 시작한 국회, 협의체에선 뭘 논의하나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9일 여야 원내대표들에게 제안했던 ‘여·야·정 협의체’ 구성 문제를 국회가 22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했다.  정세균 국회의장과 4당 원내대표의 회동에서다. 정 의장은 "국회와 정부, 국회와 청와대 간 협치는 매우 중요하며,국회  내부의 정당 간 협치가 어떻게 보면 더 선순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4당 원내대표들과 매주 월요일마다 만나기로 했다. 국회 내 소통을 늘려 여·야·정 협의체의 실효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기자들과 만난 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는 협의체의 구성 방식과 관련, “각당의 정책위의장이 포함되고, 청와대 정무수석을 포함하는 논의의 틀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의장과 원내대표들의 회동에 이어 이날 오후엔 각 당 원내수석부대표들이 실무협의를 했다.
"협의체에 원내대표, 정책위의장이 참여하면 좋겠다"는 데 모두가 공감했다고 한다.
박홍근 민주당 수석부대표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청와대에서 만드는 안에 국회 야당들의 의견을 수렴해 조율할 것”이라며 "앞으로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 의제에 대한 사전 조율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왔다"고 전했다.

여·야·정 협의체는 각 당의 공통공약을 우선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정보원 개혁, 검ㆍ경 수사권 조정, 일감 몰아주기 규제 등에 대해 각 당이 비슷한 공약을 많이 내놓았기 때문이다.
 또 6월 임시국회에서 다뤄질 일자리 추가경정예산과 새 정부 각료들에 대한 인사청문회 문제에 대해서도 협의의 대상이 될 전망이다.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는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여야 대선후보들의 공약 중 검찰개혁, 아동수당 등 공통되는 부분이 꽤 많다"며 "19일 (문 대통령과의)오찬 자리에서 그런 것들을 빨리 합의해 입법할 건 입법하고 추진하자고 제안했다"고 말했다. 채윤경 기자 pch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