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文대통령 ‘세월호’ 재조사 지시에 “정치보복 의심” 비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침몰되는 여객선 세월호. [중앙포토]

침몰되는 여객선 세월호. [중앙포토]

자유한국당은 12일 문재인 대통령이 조국 민정수석에게 세월호 참사와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 대해 사실상 재조사를 지시한 것과 관련해 “정치보복이 아닌 제대로 된 적폐청산을 할 것”이라고 했다.

김명연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세월호는 문 대통령이 국회의원이었을 당시 국회의 절차를 통해 특조위를 구성해 조사를 마쳤고, 관련자들에 대한 재판을 완료하고 세월호는 인양해 수색중인 상태”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수석대변인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적폐 청산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문 대통령이 생각하는 적폐청산 대상에 대한 재조사를 굳이 원하면 반대할 생각은 없다. 하지만 정치적으로 자신에게 불리한 사안은 외면하고, 유리할 것 같은 것만 재수사하도록 지시하는 것은 정치보복으로 의심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치보복이 아니라 국민이 원하는 적폐 청산을 제대로 하려면 노무현 전 대통령 일가의 640만 달러 뇌물 수수 의혹, 문 대통령의 아들인 ‘문준용 특혜 취업’ 의혹,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에 대한 ‘대북결재사건’도 반드시 진상이 규명돼야 할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개혁을 위한 적폐청산을 내세워 문 대통령이 정치 보복을 하려한다면 국민들은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당선된 지 며칠 만에 통합은 온데간데 없고, 개혁을 빌미로 보수를 불태우고 궤멸시켜 20년 장기집권의 길을 가려는 문재인 대통령의 의중을 국민들은 매의 눈으로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또 정준길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문 대통령이 ‘임을 위한 행진곡’의 5ㆍ18 기념곡 지정과 관련해 “전날 일괄 사표를 제출한 전 정부 임명 국무위원과 정무직 공무원 중 박 처장만 콕 집어 수리한 것은 모양새가 사납다”면서 “‘님을 위한 행진곡’ 제창 불허로 인한 여권의 뒤끝을 보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1987년 민주화운동 당시 이 곡을 부르며 체제변혁과 혁명을 꿈꾸었던 세력도 있었고 그 세력을 상징하는 사람들이 현 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 중”이라면서 “이 곡이 최소한 체제변혁과 북한동조의 상징이 돼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