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은 인수’ 나선 윤교중 하나금융사장 국민은행에 포문 열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외환은행을 두고 국민은행과 치열한 인수 경쟁을 벌이고 있는 하나금융지주가 국민은행에 포문을 열었다. 윤교중(사진) 하나금융지주 사장은 10일 기업설명회가 끝난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작심한 듯 국민은행을 비판했다. 국민은행의 외환은행 인수로 따른 독과점 심화 가능성을 지적하는가 하면 국민은행의 향후 발전 가능성을 문제삼기도 했다.

윤 사장은 "국민은행은 외환은행을 인수해 발전시킬 능력이 없다"며 "오히려 신한은행에 그런 능력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윤 사장은 "국가가 만들어준 틀 내에서 영업을 하던 은행(국민은행)과 시장을 확대하려는 은행(하나금융) 중 어디가 더 낫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또 "외환은행의 국제 네트워크를 누가 더 잘 이용할 수 있을지를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외환은행) 인수를 서두르면 파는 쪽(론스타)이 주도권을 쥐게 된다"며 "파는 쪽이 애가 닳도록 만들어야 하는데 국민은행이 왜 이런 식으로 서두르는지 모르겠다"며 국민은행에 불만을 표시했다. 국민은행의 외환은행 인수에 따른 독과점 문제도 들고 나왔다. 그는 "미국의 경우 금융시장 점유율을 10%로 제한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에 독과점에 대한 기준이 없다면 글로벌 스탠더드에 따라 사전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9일 기업설명회를 한 국민은행 측은 "외환은행을 인수해도 독점 우려 같은 건 없다"고 밝혔다. 공정거래법상 독과점이 되려면 시장 점유율이 30%를 넘어야 하는데 이때 분모는 신용카드.여신.저축은행 등을 합친 것이고, 단순히 은행만 따져서는 안 된다는 설명이다. 이 기준에 따르면 현재 국민은행의 시장점유율은 20%에 못 미친다고 국민은행은 주장했다.

김창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