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인권결의안 기권 결정 후 北 통보"…통보문ㆍ회의기록 공개 의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을 앞두고 북한에 의견을 물어봤다는 의혹에 대해 정면대응했다. 이날 중앙일보가 보도한 송민순 전 외교부 장관이 공개한 ‘쪽지’에 대해 ‘기권 결정’에 대한 통보 이후 받은 전통문이라고 주장하면서다.

문 후보는 21일 한국여성단체총연합회 주최 성평등 간담회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 문제의 핵심은 (2007년) 11월 16일 (노무현) 대통령주재 회의에서 기권 방침이 먼저 결정됐느냐, 아니면 송 전 장관의 주장처럼 북에 먼저 물어본 뒤에 결정했느냐라는 것”이라며 “분명히 말하건대 16일 대통령주재 회의에서 기권 방침이 결정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권 결정) 이후의 일은 지금까지 밝힌 것처럼 북한에 (기권 결정을) 통보해주는 차원이지 북한에 방침에 대해 물어본 바 없고, 북한에 물어볼 이유도 없다”고 강조했다.

송민순 전 장관이 20일 오후 중구 장충동 엠버서더 호텔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 20170420

송민순 전 장관이 20일 오후 중구 장충동 엠버서더 호텔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 20170420

문 후보는 국정원에 보관돼 있을 북한에 보낸 전통문을 공개할 의사가 있다는 입장도 밝혔다.

그는 “송 전 장관이 제시한 전통문으로 보이는 문서가 북쪽에서 온 것이라면 거꾸로 국정원이 그에 앞서 보낸 전통문이 국정원에 있을 것”이라며 “국정원이 그것을 제시하면 이 문제는 그것으로 깨끗하게 다 설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확실한 증거자료”라는 말도 썼다.

문재인 후보가 20일 강원도 원주시 중앙동 중앙시장에서 열린 유세 현장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문재인 후보가 20일 강원도 원주시 중앙동 중앙시장에서 열린 유세 현장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문 후보는 기권결정이 결정됐다는 11월 16일 회의 기록도 공개할 뜻도 내비쳤다. 그는 “대통령 기록물관리법에 저촉되지 않는다면 언제든지 대통령 주재회의에서 기권 방침이 결정됐다는 자료를 제출할 수 있다”며 “저희가 지금 자료를 공개하는 것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본지에 청와대에서 작성한 북한의 ‘쪽지’를 공개한 송 전 장관에 대해서는 비판을 가했다. 문 후보는 “공직자가 과거에 취득한 일들을 공개하는 것은 공무상 비밀누설에 해당한다”며 “선거에 임박한 시기에 일어나는 일들을 보면 지난 대선 때 NLL과 같은 ‘제2의 북풍 공작’으로 선거를 좌우하려는 비열한 색깔론이자 북풍공작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잘못된 내용에 대해 송 전 장관에게 책임을 묻겠다.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문재인 후보 캠프의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당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해당 문건은) 기권 결정을 한 이후에 북한에 통보한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홍 대변인은 2007년 당시 이재정 통일부 장관 보좌관을 지냈다.

송민순 전 장관이 20일 오후 중구 장충동 엠버서더 호텔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 20170420

송민순 전 장관이 20일 오후 중구 장충동 엠버서더 호텔에서 본지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 20170420

송 전 장관은 20일 본지 인터뷰에서 당시 북한인권결의안 표결을 앞두고 비서실장이던 문 후보가 북한에 의견을 물어보자고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표결 전날인 2007년 11월20일 노 전 대통령이 싱가포르에게 보여줬다는 ‘쪽지’의 실물을 공개하며 해당 문건이 표결에 앞선 북한에 사전에 물어본 ‘북한의 입장’이라고 주장했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