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구름 속 전쟁’ 올라탄 네이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클라우드 서비스’란 온라인 서버 등 전산 설비와 관련 소프트웨어를 유료로 빌려주는 서비스를 가리킨다. 세계시장 규모가 280조원에 이른다. 이 시장은 이미 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정보통신(IT) 기업들이 장악했다. 신규 진입자에겐 장벽이 무척 높다는 얘기다. 그런데 이 시장에 네이버가 뒤늦게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유는 명확하다. 미래기술 발전에 클라우드가 필요하고, 나아가 돈이 되기 때문이다.

B2B 클라우드 플랫폼 공개 #아마존·MS 텃밭에 첫발 #2년 안에 글로벌 톱5 목표 #일본·동남아 시장 먼저 공략

네이버가 17일 공개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B2B(기업 간 거래) 클라우드 서비스다. 네이버의 자회사 ‘네이버 비즈니스 플랫폼(NBP)’이 운영을 맡는다.

사실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치지 않았을 뿐 네이버는 이미 ‘네이버 클라우드 비즈’라는 이름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운영해 왔다. 앞으로 매달 4~5가지의 새 클라우드 상품을 새로 선보이면서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에 본격적으로 도전하겠다는 것이 종전과는 달라진 점이다.

자료: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시너지 리서치 그룹

자료: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시너지 리서치 그룹

네이버가 뒤늦게 클라우드 시장에 뛰어든 이유는 ‘기술 플랫폼’으로의 변신을 위한 전략이다. 네이버가 최근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인공지능(AI) 플랫폼 ‘클로바’, 자율주행차 기술 등은 모두 클라우드 서비스가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 이런 기술은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운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네이버 입장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다양한 신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마지막 퍼즐 조각인 셈이다.

관건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이 네이버·라인·스노우처럼 성공할 수 있느냐다. 네이버는 클라우드 시장에서야 후발주자지만 꽤 긴 시간 동안 관련 사업을 준비해온 만큼 자신있다는 입장이다. 네이버·라인 등 주요 서비스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해 오며 관련 기술 역량을 꾸준히 검증받아 왔다.

네이버는 6월부터는 검색·인공지능·지도 등 네이버의 간판 기술을 고객사가 빌려쓸 수 있는 상품도 선보일 예정이다. 이는 아마존·MS 등과 가장 차별화되는 장점이기도 하다.

박원기 NBP 대표는 “클라우드 기술에 대한 다각적인 투자와 여러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2년 내에 글로벌 톱5 기술 회사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자료: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시너지 리서치 그룹

자료: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시너지 리서치 그룹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은 아마존과 MS, IBM 등 글로벌 IT 기업들의 전쟁터로 변신한 지 오래다. 2006년 세계 최초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보인 아마존의 ‘아마존 웹 서비스(AWS)’는 독보적인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AWS는 122억 달러(약 13조87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MS와 구글, IBM도 아마존을 맹추격하고 있다. 네이버는 메신저 ‘라인’의 인기가 높은 일본과 동남아 시장을 우선적으로 노릴 예정이다.

지난해 3조7400억원 규모였던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올해 14% 증가한 4조2900억원까지 커질 전망이다.

하선영 기자 dynamic@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