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 실력자들 시진핑에 집단경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첫 정상회담을 이틀 앞두고 미국 상원의원 26명이 4일(현지시간)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체계 배치와 관련해 중국의 한국 보복을 중단시키라는 서한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서한은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사드 배치에 대한 입장을 재검토하고, 한국에 대한 부당한 경제적 보복을 중단하라고 촉구하기를 희망한다”며 “중국이 북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더욱 생산적인 역할을 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바란다”고 3대 요구 사항을 명시했다.

"사드 보복 중단해야" 26명 연명서한 백악관에 전달

미국 상원의원들의 연명 서한

미국 상원의원들의 연명 서한

  미국 상원까지 사드 보복 중단을 요구하고 나섬에 따라 미ㆍ중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사드 보복 문제를 거론할 가능성이 더 커졌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백악관의 고위 당국자는 이날 전화 브리핑에서 “중국의 보복은 말이 안 될 뿐만 아니라 당혹스럽다”라며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사드 보복)가 거론돼도 나는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상원 서한에는 존 매케인(공화) 군사위원장 및 잭 리드(민주) 군사위 간사와 지난해 공화당 대선 경선 후보였던 테드 크루즈 및 마코 루비오 의원, 지난해 초 민주당의 대선 경선 후보군에 오르내렸던 엘리자베스 워런 의원 등이 참여했다.
 또 존 코닌 공화당 원내총무, 제임스 인호페(공화) 환경위원장, 리사 머코스키(공화) 에너지천연자원위원장, 다이앤 파인스타인(민주) 법사위 간사, 리처드 블루멘털(민주) 재향위 간사도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모두 상원에서 막강한 발언권을 갖는 인사들로 미국 의회 정치를 움직이는 실력자들이다. 참여 의원들의 숫자로 봐도 상원의원 100명 중 4분의 1이 서명에 가세했다.

 따라서 이는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을 찾는 시 주석에게 한국에 대한 보복 대신 북핵 저지에 나서라는 상원 실세들의 집단 경고로 풀이된다.
 상원은 미ㆍ중 경제 현안을 놓고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데다 대북 제재와 관련해 중국을 압박하는 법안을 처리할 수 있다.
 중국의 태도 여하에 따라선 향후 중국을 겨냥한 실제 압박 조치에 나설 수도 있다.
 앞서 하원의 에드 로이스 외교위원장도 중국 정부의 고위 당국자에게 사드 보복을 중단하라는 메시지를 직접 전한 바 있다.

 서한은 “한ㆍ미 양국은 북한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 사드 배치를 추진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의 방미와 관련해 한국에 대한 중국의 부당한 경제적 보복 조치에 관심을 두기를 기대한다”고 명시했다.
 이어 “우리는 한국 기업들에 대한 중국의 사드 관련 보복 조치에 대단히 우려한다(very concerned)”고 강조했다.
 또 “중국의 각종 보복 조치는 명백히 한국내 정치적 갈등을 조장하고 한ㆍ미 정부 간에 틈을 벌리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워싱턴의 한 소식통은 “서한은 회담에 나서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주는 효과도 있다”고 전했다. 워싱턴=채병건 특파원 mfemc@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