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틸러슨 “中, 사드 경제적 보복 부적절하고 유감…北에 대한 역할도 하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이 17일 오후 서울 세종로 외교부 브리핑룸에서 공동기자회견을 마치고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이 17일 오후 서울 세종로 외교부 브리핑룸에서 공동기자회견을 마치고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17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국내 배치 결정에 따른 중국의 보복 조치와 관련해 “중국이 이러한 행동을 자제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북한과 20년간 대화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며 “북한에 대한 전략적 인내 정책은 이제 끝났다”는 입장을 내놨다.

美 국무장관, 윤병세 장관과 공동기자회견서 #“대북 ‘전략적 인내’라는 정책은 이제 끝났다…
북한이 위협하는 행동을 한다면 모든 군사적 옵션을 검토할 것”

취임 후 처음 방한한 틸러슨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공동기자회견에서 “중국의 (사드 배치) 반대를 알고 있습니다만, 한국에 대한 경제적인 보복조치는 부적절하고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중국이 사드를 필요하게 하는 위협, 다시 말해 고조되는 북한 위협에 대해 역할을 하길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미국은) 동맹국의 방어에 대한 의지를 굳건히 하고 있고 포괄적인 능력을 활용해서 북한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처할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미국과 대한민국이 방어적인 조치인 사드 미사일 방어시스템 조치를 결정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틸러슨 장관은 “대북 ‘전략적 인내’라는 정책은 이제 끝났다”고도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의 심각하고 고조되는 위협 문제에 대해 우방국과 논의하면서 평화에 대한 새로운 길을 찾고자 한다”고 했다.

틸러슨 장관은 “우리는 외교적인, 안보적인, 경제적인 모든 형태의 조치를 모색하고, 그리고 모든 옵션을 검토할 것”이라며 “북한은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번영되는 미래를 갖기 위해 핵무기, 탄도미사일, 대량살상 무기 개발을 포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유엔 안보리 제재 조치를 최고 수준으로 취했다고 믿지 않는다”며 대북 제재 수위를 더 높일 필요성을 지적했다.

대북 군사 옵션에 대해서는 “군사적 갈등까지 가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서도 “만일 북한이 한국과 (주한)미군을 위협하는 행동을 한다면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며, 모든 군사적 옵션을 검토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틸러슨 장관은 이어 “동맹국의 방어에 대한 의지를 굳건히 하고 있으며, 포괄적인 능력을 활용해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처할 것”며 “그렇기 때문에 사드 미사일 방어시스템 배치를 결정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