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수렴 '쌍방향' 운영에 가산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평가단은 이번에 번듯한 겉모양보다 홈페이지가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살피는 데 역점을 뒀다. 홈페이지의 정보를 바탕으로 행정기관이 얼마나 지역민의 여론을 수렴, 활용하느냐는 '쌍방향' 운영에 가중치를 높였다. 첨단 기술의 발달로 행정기관의 홈페이지 제작은 일정한 수준 이상 올라간 만큼 운영 및 편리성을 중점적으로 살폈다는 의미다.

이번 평가는 조달청 공개경쟁 입찰을 통해 선정된 숙명여대 행정기관 홈페이지 평가단(단장 문형남 교수)이 맡았다. 숙명여대팀은 자문위원 13명, 평가위원 37명을 구성해 지난해 9월부터 100일간 평가작업을 벌였다. 중앙행정기관 54곳을 포함해 모든 행정기관(304개) 홈페이지가 대상이었다. 평가자들이 평가 대상 홈페이지에 직접 들어가 쉽게 접속할 수 있는지(접근성), 정보는 제대로 업데이트 되는지(운영성) 등 7개 분야 256개 세부항목에 대해 1점부터 5점까지 점수를 매겼다. 특히 2005년부터는 개인정보 노출 문제를 별도 부문으로 분리해 집중적으로 따져봤다. 이용자들이 무심코 주민등록번호나 계좌번호, 연락처 등을 남기는 경우가 적지 않은 행정기관 홈페이지의 특성을 감안해 이 같은 정보가 얼마나 노출됐고 이를 보호하는 시스템이 얼마나 기민하게 대응하느냐를 진단했다.

행자부 측은 "정부 차원에서 5년째 행정기관 홈페이지를 평가하자 공공 사이트들이 앞다퉈 주민 친화적인 민간 포털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창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