名品 개발 일등 공신「공개 베타 테스트」[2]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소니 온라인 엔터테인먼트에서 출시예정인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스타워즈 갤럭시’는 거의 2년 동안 활발한 사용자 포럼으로 가득한 웹사이트를 보유중이며 이는 베타 테스트의 초기 단계를 훨씬 앞서고 있다. 개발자들은 이 사이트를 통해 게임 개발의 진척상황을 알려주며 독자들과 채팅을 하기도 하며 토론방과 포럼을 통해 피드백을 요청한다.

맥다니엘은 팬들이 보내준 초기의 피드백들이 이 게임의 개발틀을 잡는데 엄청난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처음에는 아주 기초적인 질문들로부터 출발했다. 하지만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면서 우리는 미처 생각하지도 못했던 방향으로 가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EA(Electronic Arts)를 위한 게임을 개발해주는 웨스트우드 스튜디오에서 수석개발 담당자인 레이드 스토사블레빅은 자기 회사에서 새로이 개발중인 우주 롤플레잉 게임 ‘어스 & 비욘드(Earth & Beyond)’의 개발팀은 테스트용으로 소프트웨어를 발송하기 훨씬 전부터 피드백을 요청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그는 "공동체가 아주 작을 때부터 게임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을 요청하며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초기에 커뮤니티를 전담시킬 고정 담당자 고용했는데 그녀의 일은 피드백들을 걸러서 개발 팀에 전달하는 일이었다"라고 말했다.

그는 초기의 피드백이 게임의 구조를 대폭 변경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말했다. 게임의 초기 개념에는 개인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아바타’가 포함되지 않았다. 그 대신 우주선을 개인에게 맞도록 설정하는 부분에 집중한다는 개념이었다.

그는 “애초에 우주선에 승선한 사람 자체에 대해서는 그다지 큰 신경을 쓰진 않았다. 처음에 우리가 몰랐던 것은 생명이 없는 쇠붙이를 사랑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이었다. 사용자 그룹은 만장일치로 아주 분명하게 이점을 훌륭히 전달했다. 이후 우리는 아바타 시스템 개발에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라고 말했다.

옥석 가리기
당신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전세계 사람을 초청하는 일에는 일정수준의 책임감이 뒤따른다. 토론방 글, 이메일 메시지, 다른 매체를 뒤져서 가치 있는 아이디어를 찾는 일은 많은 노력을 요구한다. 웨스트우드는 ‘어스 & 비욘드’를 위해 5명의 공동체 개발 전문가를 정규직으로 고용했다. 이들은 고객의 입력정보를 걸러내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했다.

스톨사브레빅은 "엉망진창이 되긴 쉽다. 내 생각엔 대부분의 사람이 떠드는 아이디어를 파내고 발견해 개발팀의 적절한 인사에게 전달할 수 있는 사람들을 보유하는 일은 필수적이다. '어스 & 비욘드' 개발 사이클이 절정에 달했을 때 150명의 사람이 개발팀에 있었다. 모든 이가 전체적으로 무슨 일이 있는지 파악하는 일은 불가능하다"라고 말했다.

개발자들은 또한 생산성이 없거나 수명이 다한 토론방을 중단시킬 권한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프로젝트는 마비된 아이디어로 인해 프로젝트는 정체될 수도 있다.

로터스의 설립자인 케이퍼는 "분명한 의사 표명을 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우리가 하는 일은 이것이며 저것은 아니라든지, 이 문제는 해결됐으며 그 이유는 이것이라는 따위로 말이다. 입장표명을 하고 의사소통을 하지 않게 되면 토론은 끝이 없다. 그리고 이는 공동체를 존중하는 태도로 이뤄져야 한다. 권위주의를 공동체가 느낀다면 좋은 관계는 만들어지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개발업체의 뻔뻔함도 일정부분 도움이 되기도 한다. 저속한 언어로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사람들도 견뎌야 하기 때문이다. 자신도 잘못을 저지를 수 있다는 충분한 자기성찰도 필요하다.

브릭클린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되기 위해선 자부심과 겸손함 모두를 가져야 한다. 수많은 버그와 개발과정에서 겪게 되는 막다른 길을 뚫으려면 자부심이 있어야 개발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겸손함이 있어야 남들에게서 배우고 신속하게 변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올바른 태도를 갖고 관리를 한다면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는 개발자의 손을 떠나기 전에도 공중의 자발적인 참여로 인해 성공할 수 있다.

케이퍼는 "일이 잘되면 얼리 어답터(early adopters)들을 얻게 된다. 에반젤리스트(홍보가)도 얻게 되며 초기에 많은 호응을 얻게 된다. 열차가 역을 떠난 순간 최후 출시를 하기 전이라도 힘을 받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 ZDNet Korea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