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으로] 르네상스 거장 미켈란젤로도 위작의 달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위작의 기술
노아 차니 지음
오숙은 옮김, 학고재
352쪽, 2만2000원

사학자이자 미술범죄 전문가인 저자에 따르면, 미켈란젤로도 위작과 관련 있다. 그를 흉내 낸 가짜 작품 얘기가 아니다. 그 자신이 20대 초반에 대리석 조각상 ‘잠자는 에로스’를 만들 때 일부러 고대 작품처럼 보이도록 꾸며 판 적이 있다는 것이다. 그 의도가 사기였는지, 아님 고대 유물로 보일 만큼 뛰어난 솜씨를 과시하려던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미켈란젤로는 이후 큰 명성을 얻었고 이 같은 초기작도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현대에는 얘기가 다르다. 위작이 드러날 때마다 미술계는 발칵 뒤집히고 소유자와 전문가가 재판에서 격돌하기도 한다. 전에 없던 현상은 또 있다. 위작 제작자가 대중 스타가 되는 것이다. 특히 서양에선 위작 스캔들이 터진 뒤 자기 얘기를 책으로 펴낸 사람이 한둘이 아니다. 방송 출연자로 전직, 이름난 화가를 흉내 내는 재주를 꾸준히 시연한 경우도 있다. 이 책은 다양한 위작 사건, 특히 2011년 뉴욕 크뇌들러 갤러리 같은 최신 사례까지 상세히 소개하며 이 요지경 같은 세계, 진작과 위작의 판별이 쉽지 않은 다양한 이유를 전한다.

과학적 기법이 도입된 요즘도 그렇다. ‘가짜’란 걸 공인받기보다 묻어두려는 소유자들, ‘진짜’라는 걸 인정해 엉뚱한 사람에게 막대한 이익을 주고 싶지 않은 전문가들도 있다. 바스키아가 죽기 며칠 전 그린 그림은 후자의 예다. 동네 마약상의 집 철문에 그린 이 그림은 진품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바스키아의 서명이 없기도 하거니와 ‘마약상의 손에 수백만 달러를 쥐어주고 싶지 않은 마음’이 전문가들에게 작용했을 거라는 게 저자의 시각이다.

이후남 기자 hoona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